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 뉴스] 바이러스 먹는 미생물 할테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먹고도 번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어요. 미생물이 바이러스를 먹는 걸 처음으로 직접 확인했지요. 연구팀은 실험용 접시에 민물과 할테리아를 담은 뒤, 바이러스의 일종인 ‘클로로바이러스’를 추가했어요. 실험 결과 할테리아는 이틀 만에 약 15배 증가했고, 클로로바이러스는 100분의 1 ... ...
- [4컷 만화] 페름기 대멸종, 육지생물의 멸종 원인은 자외선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95% 이상이 멸종했다고 알려졌지만, 육지에 사는 생물은 70%가 멸종했다고 알려졌을 뿐 직접적인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어요.연구팀은 페름기 대멸종 당시의 환경을 알아보기 위해 페름기 대멸종 때 지층이 있는 티베트 남부 지역에서 당시 번성했던 양치식물인 ‘알리스포라이트’ 화석 1011개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클라우드 서비스 슬기롭게 활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100% 안전하게 보호되고 관리된다는 보장은 없어요. 하드디스크나 USB처럼 내가 직접 관리하는 개인장치가 아니라 저 멀리 바다 건너 어디에 있을지 모르는 클라우드라는 저장소에 나의 개인정보를 맡기는 셈이니까요.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저장한 자료를 분실하거나 손실시킬 수도 있어요. 201 ...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많이 소모하는 데이터 센터의 경우 직접 발전을 하는 곳도 있다”며 “이런 곳은 직접배출원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센터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은 어느 정도일까. 국제 에너지 기구(IEA)는 2022년 9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데이터 센터가 전 세계 전력 수요의 약 1%를 소비하며, 세계 ... ...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기술하는 언어라 할 수 있는 양자장론을 알아야 합니다. 또한 암흑물질의 존재를 직접 설명하는 천체물리학 이론과 우주의 팽창 과정에서 암흑물질이 한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빅뱅 우주론도 알 필요가 있습니다. Q. 암흑물질 연구의 트렌드는 무엇인가요?오랫동안 암흑물질 연구를 주도해온 윔프 ... ...
- [특집] AI와 일하는 만화작가 만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30초간 바뀌어서 방송이 된 적 있어요. 저희가 개발 중인 웹툰ME 기술을 이용하면 독자가 직접 웹툰 속에 들어갈 수 있는 ‘인터랙티브 웹툰’ 같은 컨텐츠도 나올 수 있죠! Q웹툰ME에는 어떤 기술이 적용된 건가요? 김 딥러닝● AI 기술을 이용하고 있어요. 카메라가 찍은 이미지를 웹툰 ... ...
- [에디터 노트] 동행의 부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했는데, 독자위원들은 서로의 ‘진짜 얼굴’을 보고 싶어했습니다. 몇 달을 망설이다가 직접 만나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일이 되려면 이렇게 풀리는지, 마침 그 무렵 만난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도 과학에 관심있는 대중들과 만날 방법을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우리 독자들의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는 각 춘천이 기존 데이터 센터보다 연간 73.8%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봤다. 직접적으로 데이터 센터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화를 모색하는 연구도 있다. 김대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는 데이터 센터의 네트워크 효율을 높여 전력 소모량을 줄이는 연구를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내가 직접 뉴턴 뺨치는 과학자가 되어 봄 PRINCIPIA과학동아 l2023년 03호
- 17세기 유럽 과학자의 일생을 체험하는 게임입니다. 12명의 과학자 중 한 명을 골라 직접 연구를 하면서 명성을 쌓는 겁니다. 와, 무슨 이런 찐 과학사 게임이? 아직은 스팀에 앞서 해보기로 올라와 있지만, 존재를 알게 된 이상 그냥 넘어갈 수 없지요. 게임은 뉴턴이 흑사병을 피해 고향에서 ... ...
- 양자와 친구가 되는 곳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가운데에 두고 한쪽 발은 STM쪽에, 나머지 한쪽 발은 그 바깥쪽에 걸쳐 진동의 차이를 직접 체험했다. “어지러워요!” “멀미나요!”라는 탄성이 여기저기서 터져나왔다. 신기한 실험실의 모습만큼이나 독자들의 호응을 끌어낸 건 마지막 일정이었던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IBS QNS 단장과의 점심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