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뉴스
"
천문학자
"(으)로 총 542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최대근접 현상] 화성에 정말 화성인이 있을까?
2016.05.27
화성에 대한 열풍적인 관심이 일어나게 되는데요. 그에 앞장선 사람은 바로 미국의
천문학자
로웰입니다. 그는 조선 말기 우리나라를 방문해 ‘고요한 아침의 나라’(the land of morning calm)라는 말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으로도 알려져 있는데요. 그는 화성을 연구하기 위해 미국 애리조나주에 로웰 ... ...
[화성 최대근접 현상] 화성인이 지구에 온다면 어떻게 올까?
2016.05.27
5000km 안팎으로 접근거리가 더욱 짧아지는 대접근 현상이 나타나는데요. 이탈리아
천문학자
스키아파렐리가 화성을 관측해 수많은 수로가 있음을 발견한 것도 1877년에는 화성이 지구에 8400만km까지 접근했던 대접근일이었습니다. 화성이 이렇게 지구에 가까이 다가온다니, 그날 무슨 일이라도 벌어질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2016.05.12
된 화학로자리는 어두운 별로 이뤄진 보잘 것 없는 별자리다. 프랑스의 성직자이자
천문학자
인 루이 드 라카유가 1750년대 남아프리카공화국 희망봉에서 별들을 관측할 때 이름 붙인 별자리다. 국내에서 화학로자리는 화로자리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이름이 붙여진 의미를 안다면 단순히 불을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
2016.05.10
양자이론을 접하고 당혹해하지 않는 사람은 양자이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 닐스 보어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유치환의 시 ‘깃발’에 나오는 ‘소리없는 아우성’은 시적 상상력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말이 안 되는 표현 ... ...
“제가 노벨상 받은 비결요? ‘신뢰’하는 프랑스 학풍 덕분이죠”
2016.05.05
2012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세르주 아로슈 콜레주드프랑스 교수가 4일 서울대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연구자들을 믿고 신뢰하는 프랑스식 연구 방식과 프로젝트(과제) 위주로 진행되는 미국식 연구가 서로 균형을 맞춰 나아가야 기초 연구의 발전이 있을 겁니 ... ...
‘천재소년’ 송유근, 준비 중인 논문 또 표절 논란
2016.05.04
‘천재소년’ 송유근 군(19·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박사과정)이 준비 중인 논문이 또 다시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 송 군은 지난해 11월 표절로 인해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Astrophysical Journal)에 게재한 논문이 철회됐다. 이번에 문제가 된 논문은 지난달 25일 정식 학술지에 투고하기 ... ...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 ①
과학동아
l
2016.04.30
“계약서 없이 3년 근무… 월급은 널뛰기, 논문은 포로” 생명과학을 전공한 S박사는 수 년 전 서울 명문대 병원의 한 교수 연구실에 전일제로 취직했다. 교수는 월급을 200만 원씩 주겠다고 약속했다. 계약서를 쓰진 않았지만, S박사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거라고 봤다. 빨리 좋은 논문을 써서 더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
2016.03.28
명명했다. 아폴로 15호가 찍은 사진이다. - NASA 제공 1835년 소머빌은 독일의
천문학자
캐롤라인 허셜과 함께 영국왕립천문학회 최초의 여성 회원으로 선출됐다. 소머빌은 ‘물리과학의 연관성에 대해’ 6판(1842)에서 천왕성의 공전궤도를 교란시키는 가상의 천체에 대해 언급했는데, 1846년 해왕성이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2016.03.24
목성이 접근한다는 예보가 있어 유럽
천문학자
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독일의 유명한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도 관측에 나섰다가 공교롭게 두 행성 근처의 땅꾼자리에서 ‘새로운 별’을 발견했다. 이 별은 목성만큼이나 밝았다. 케플러는 18개월에 걸쳐 이 별을 관찰한 결과를 기록했다. 당시에는 ... ...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02.27
너머에서 명왕성보다 조금 작은 왜행성 ‘세드나’가 발견됐다. 세드나는 발견 초기부터
천문학자
들의 주목을 받았다. 궤도가 매우 독특했기 때문이다. 세드나의 궤도는 근일점(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이 76AU(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 장반경(타원에서 긴 축의 절반)이 480AU로 매우 긴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