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뉴스
"
천문학자
"(으)로 총 542건 검색되었습니다.
9번째 태양계 행성, 진짜 있을까
2016.01.21
9번째 태양계 행성의 상상도. 저 멀리 반짝이는 태양이 보인다. - 칼텍 제공 미국 과학자들이 명왕성을 대체할 9번째 태양계 행성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타임’과 ‘포브스’ 등 외신이 20일 일제히 보도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새로운 태양계 행성의 실존 여부를 확신하기엔 아 ... ...
와인과 은하를 사랑하는
천문학자
2016.01.13
‘하늘과 가장 가까운’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 건물 중에서도 가장 높은 곳에 있어 하늘과 더욱 가까운 ‘이원철홀’에서 경재만 은하진화그룹 책임연구원을 만났다. 경 연구원은 “천문연은 문학이 인간세계를 언어로 묘사한 것처럼, 천체의 세계를 과학이라는 언어 ... ...
‘기후의 수호자’부터 ‘명왕성 사냥꾼’까지
2015.12.27
네이처는 과학계의 권위에 가려진 불의에 맞선 공로로 조안 슈멜츠 미국천문학회 여성
천문학자
지위위원회 위원장을 꼽았다. 슈멜츠 위원장은 집요한 조사 끝에 유력 노벨상 후보자로 거론된 제프리 마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가 오랜 기간 최소 4명 이상의 학생을 성희롱한 ... ...
목성에 폭풍이 350년 넘게 지속된 이유
2015.12.01
앨버타대 제공 목성의 표면에는 적어도 350년 동안 그치지 않는 폭풍이 있다. 이탈리아
천문학자
지오반니 카시니가 1665년 처음 발견한 이래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캐나다 연구진이 이 폭풍의 모습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모리츠 하임펠 캐나다 앨버타대 교수팀은 ... ...
[기자의 눈] 송유근, 이제부터라도 ‘영재’ 아닌 ‘과학자’로 키우자
과학동아
l
2015.11.25
변지민 기자 최근 미국천문학회로부터 논문 철회 통지를 받은 송유근 군(17)은 어릴 때부터 언론에 오르내리며 ‘천재’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지도교수이자 멘토인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위원은 공석과 사석을 가리지 않고 송 군을 “슈퍼영재” 또는 “천재”라고 불렀다. 그러나 기자가 ... ...
‘영재’ 송유근 논문, 물리학자·문헌학자 “표절” 의혹 제기
과학동아
l
2015.11.21
최근 최연소 박사학위 논문심사 통과로 화제를 모은 송유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학생(17)이 제1저자로 참여한 논문이 표절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올해 10월 10일 ‘천체물리학저널(Astrophysical Journal)’에 발표한 논문(제1저자 송유근, 제2저자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위원)이 2002년 ... ...
‘천재소년’ 송유근, 국내 최연소 박사 된다
2015.11.18
송유근 군(가운데)이 박사학위 논문 최종 심사를 통과해 논문심사위원장인 조용승 이화여대 명예교수(왼쪽)과 지도교수인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위원(오른쪽)에게 축하받고 있다.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제공 ‘천재소년’으로 화제를 모았던 송유근 군(사진)이 국내 최연소 박사가 ... ...
日, 또 노벨상
동아일보
l
2015.10.07
[동아일보] 물리학상 2년 연속 수상… 의학상 이어 연일 쾌거 역대 과학부문 21명째… 기초과학 전폭지원 결실 日가지타 - 加맥도널드 공동수상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우주를 이루는 기본 입자인 중성미자(中性微子·neutrino)가 질량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낸 일본과 캐나다 과학자 2명에게 돌아 ... ...
[특집] 韓中日 달탐사 경쟁 심화… “먼 옛날 달은 ‘동생’이 있었다는데”
2015.09.19
회색으로 잘 나타나 있다.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달 지도. - 위키피디아 제공 당시
천문학자
들은 파인 부분에 물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이 부분을 크기에 따라 ‘바다’나 ‘대양’으로 불렀다. 이는 달이 생성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무렵 표면이 아직 굳지 않고 걸쭉하게 녹은 ... ...
[사이언스 브리핑] ‘대한민국 별 축제’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5.09.18
‘
천문학자
김담 탄생 600주년 기념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김담은 조선 초기
천문학자
로, 국내 천문학의 수준을 끌어올린 인물로 평가받는다. 이번 행사는 김담이 태어난 지 600년이 되는 2016년을 기념해 그의 업적과 조선시대 천문학을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했다. 김담의 후손이기도 한 김제완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