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치 고유의 유산균 확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미생물유
전체
활용기술개발사업단 오태광 단장은“김치의 대표 미생물에 2종에 대한 유
전체
정보를 확보함에 따라 김치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며“앞으로 사스(SARS)에 대한 김치의 면역증진 효과에 대해서도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SF 작가의 공상에서 태어난 통신위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개인이 휴대하기 힘든 크기의 통신장비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저궤도로 지구
전체
에 서비스를 하려면 3대가 아닌 수십대의 위성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저궤도 위성이동통신서비스를 보면 이리듐이 66대, 글로벌스타는 51대의 위성을 동원하고 있다.하나의 휴대전화만으로 전세계 어디에서나 ... ...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교수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지구 생태계 면적의 0.3%에 불과한 갯벌은
전체
생태계의 5%에 해당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지구의 모든 호수와 강이 지닌 가치와 맞먹는다. 논문에서는 일반 갯벌의 가치를 1ha당 9천9백90달러로, 영양물질의 유입이 풍부한 강 하구에 위치한 갯벌을 2만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구조다. 산소 원자핵은 수소 원자핵에 비해 주위의 전자를 강하게 끌어당긴다. 따라서
전체
적으로는 중성인 물분자를 들여다보면 산소 원자는 약간의 (-) 전하를 띠고 수소 원자는 그만큼 (+) 전하를 띤다. 그 결과 물분자 속의 산소 원자는 주위 물분자의 수소 원자와 서로 끌어당긴다. 물분자 간의 ... ...
제16회 국제물리공동탐구토론대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반론을 깔끔히 했다. 그 결과 49.4점을 얻은 폴란드보다는 낮은 47.42점을 얻었지만 4라운드
전체
3위를 차지하며 종합순위를 4위까지 끌어올려 결선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됐다.땀과 전략의 승리마지막 고비인 5라운드에서 한국팀은 인도네시아팀, 뉴질랜드팀과 만났다. 뉴질랜드팀은 1-4라운드 동안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가장 중요한 전사구 부분에 개발이 집중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전사구가 파괴되면
전체
사구지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만약 불가피하게 개발을 허용한다 하더라도 전사구 지역을 피해 다른 지역을 개발하는 대안이 있을 수 있다. 차량의 접근을 막고 관광객이 출입할 수 있는 길을 만들면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도입되었는데, 이와 같이 간단한 식으로 임의의 전자기장 내에 있는 힘의 작용
전체
를 나타낸다 로렌츠는 이 힘을 가정함으로써 물질의 밀도 · 분자량 · 굴절률 등 전자기적 · 광학적 성질의 설명에 성공했다 1793~1856 러시아의 수학자 유클리드의 평행선 공리와는 관계없이 기하학의 체계를 세우고(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일반적으로 구멍의 지름은 1-1.5mm이고, 구멍 사이의 간격은 4-6mm라고 한다.스크린의
전체
모양도 생각과 다르다. 스크린을 위쪽에서 내려다본다면 가운데가 오목하게 휘어있음을 알 수 있다. 교실에서 평평한 칠판 양옆에 쓰여있는 글씨는 교실 양끝에 앉아 있는 학생들에게 잘 보이지 않는다.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전에 관측장비들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관측자료의 오차를 보정했다.다음은 탐사할
전체
해역의 개략적인 지형을 3차원으로 확인할 차례다. 한국해양연구원의 연구선 온누리호에 장착된 다중빔 탐사장비를 이용해 해저면 영상조사를 수행했다. 이 장비를 이용하면 약 1만m 깊이까지 탐사가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M7로 향하면 시야의 양쪽 가장자리에 뭉쳐 있는 별무더기가 둘 보인다. 쌍안경에서는
전체
적으로 별이 뭉쳐 있지만 잘 보면 주변으로 개개의 별들이 흩어져 있는 모습이 확인된다. 숙련된 관측가라면 퍼진 성단임을 느낄 수 있다. 두 성단 M7과 M6은 배경의 수많은 잔별들과 대조돼 더욱 빛나보인다. M ... ...
이전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