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꼭 필요한 유전자만 갖춰 세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크게 줄이고, 원하는
물질
을 대량으로 빠르게 생산하도록 합성최소세포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를 위해서는 마이코플라스마에 기반을 둔 현재 유전체 설계 수준을 뛰어 넘어 다양한 유전체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해 낼 수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작용을 방해하는 약물, 즉 길항제(antagonist)를 개발하고 있다. 오 교수팀은 이미 많은 후보
물질
을 찾아내 현재 동물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오 교수는 “온도수용체의 미스터리를 규명하는 과정은 순수과학의 측면에서도 가치가 클 뿐 아니라 응용면에서도 잠재성이 크다”며 “아직 미개척영역이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이 해류의 성분을 분석하면 울릉분지 남쪽에 위치한 해양폐기물 투기장에서 어떤
물질
이 유출되는지 알 수 있다. 2006~2007년 해양조사로 독도의 표층수온이 주변보다 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해 ‘독도혼합효과’라고 이름 붙이기도 했다. 이처럼 독도에서만 나타나는 해양물리현상을 이해하면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적혈구와 비교하면 질병에 걸렸는지 진단할 수 있죠.”그동안 혈액을 채취해 여러 화학
물질
과 반응시킨 뒤 나온 결과로 질병유무를 알아냈다면 이제는 인체의 질병감지시스템이 하는 방식과 똑같이 건강한 세포와 병든 세포를 가려낼 수 있는 셈이다. 이 기술은 당뇨병뿐만 아니라 다른 질병을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고제트도 역반사
물질
을 이용해 투명산타클로스가 되어 보겠어. 어때? 근사하지? ▲
물질
의 굴절률이 같을 경우 마치 투명한 듯 보인다. 사진은 파이렉스 막대를 식용유에 넣어 막대가 사라진 듯 보이는 모습.아세톤에 유리막대를 넣어도 같은 효과가 난다. ▲ 도쿄대학교 팀이 만든 투명 망토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섞으면서 물감이 점점 검게 변했기 때문이야. 황과 납이 만나면 황화납이라는 검은
물질
이 생기거든. 유화의 기름은 이런 변화를 부채질한다고. 어휴~, 명작의 색이 변해안타까워. 수리~ 수리 보색 마술쿵~! 그림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리지 않아? 난 대담하게 튀는 색끼리 충돌을 일으켜 사람들의 ... ...
“이리 와 이리 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내가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는 살아 있는 시체, 좀비. 이스라엘 벤규리온대학교 프레데릭 리버샛 교수가 ‘암풀렉스콤프레사’라는 말벌이 일명 ‘좀비 바퀴벌레’ 를 만든다고 최근 ... 사실을 알아냈어요. 옥토파민은 걷는 것과 같은 복합적인 행동을 하는 데관여하는
물질
이래요 ... ...
활활~ 얼음에 불이 붙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하이드레이트는 낮은 온도와 높은압력에서 기체 분자와 물 분자가 결합해서 생기는
물질
이에요. 주로 바다밑 땅속에서 만들어지죠. 축구공 모양으로 배열된 물 분자가 메탄 가스 분자를 하나씩 담고 있어, 얼음과는 분자구조 자체가 다르답니다.” 사건 분석 ❸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새로운 ... ...
Parrt I 생물자원 훔쳐가는 생물도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두통과 불면증 약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최근 독일의 한 제약회사가 펠라르고늄 추출
물질
로 만든 약에 대한 특허를 주장하고 나섰다.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장사꾼이 챙기는 셈이다. 크리스마스 트리는 한국산구상나무는 서양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로 가장 인기있는 나무다. 그러나 구상나무는 ... ...
과학뉴스 - 자격루 다시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환경호르몬 : 생물의 몸에 들어가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방해하고 혼란스럽게 만드는 화학
물질
이랍니다.4 바퀴벌레 잡는 로봇바퀴벌레는 어두운 곳을 좋아하기 때문에 사람에게 잘 발견되지 않아 퇴치하기가 쉽지 않아요. 그런데 벨기에 프리대학교의 호세 할로이 교수가 바퀴벌레를 밝은 곳으로 ... ...
이전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