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내 차선이 제일 느릴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꽉 막힌 도로에서 운전하다 보면 앞에 있던 차량이 무리하게 옆 차선으로 이동하는 것을쉽게 볼 수 있다. 자신의 차선보다 빠르다고 느끼는 옆 차선으로 ... 체증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운전자가 이런 교통 흐름의 성질을 앎으로써
조금
이나마 체증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 ...
북극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매일
조금
씩 높아져 하지 때(6월 21일경)는 23.5°에 이른다. 하지 이후로는 고도가 매일
조금
씩 낮아져 추분(9월 23일경)이 되면 다시 지평선에 걸치게 된다. 따라서 춘분부터 추분까지 해는 지평선 아래로 내려갈 수가 없어 6개월간 낮이 계속 이어지고, 마찬가지로 추분부터 이듬해 춘분까지는 6개월간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나질 않기 때문이다. 집에 가서는 평범한 남편, 아버지인 그가 자녀들한데 거는 기대는
조금
다르다. “어렸을 때부터 부모님께서 뭘 하라고 하셨던 적은 없었어요.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도록 안보이게 도와주셨던 것 같아요. 돌이켜보면 그것이 내가 여기까지 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 같아요.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디자인에 치중하는데 우리들의 얘기가 엔지니어에 치우친 것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어
조금
아쉽네요.하야오 감독의 마니아가 많은 상태에서 이런 식으로 접근했다는 점이 반발을 일으키지 않을까 우려되기도 하구요.성환_ 저도 하야오 마니아입니다. 일본에 갈 때마다 하야오의 애니매이션은 다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그만큼 하늘에 관심이 많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자동차 이름을 좀생이라고 붙이면
조금
멋스럽지는 않겠다. 수바루에 대한 전설은 다음과 같다.옛날에 수바루란 노인이 살았는데, 술 마시기를 무척 좋아했다. 이 노인이 어느날 주막에 가서 곤드레만드레가 되도록 술을 마셔대고는, 술집 주인인 ... ...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김교수는 “환자들이 스스로 증상이 좋아졌다고 말한다”면서, “면역달걀의 양을
조금
씩 늘리고 있다”고 밝혔다.작년 12월 영국의 BBC방송은 헬리코박터균이 설사병 방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보도했다. 독일 연구팀에 따르면 헬리코박터균에 어렸을 때 감염되면, 이 균이 설사병을 ... ...
3. 왜 포스트PC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것일까.휴대폰만한 크기의 단말기 하나로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있으리라는 상상은
조금
씩 현실화되고 있다. 포스트PC에 대한 경쟁이 심해질수록 그 가능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즉 각 업체들이 자신의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사용자들을 편리하게 해주는 자신들만의 새로운 기술을 들고 나오기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각각 다른가요?황교수_ 지문 복제가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멜라닌과 관련된 요소는
조금
씩 다를 수 있습니다.성환_ 또 하나의 문제로…복제인간의 인격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대부분의 영화에서 복제인간이 떠난다는 설정을 하더라구요. 그게 이 시대의 모호한 결론 아닐까요. 복제인간임을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태양의 활동은 지구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흑점이 생기는 양에 따라 태양 표면의 온도도
조금
달라지는데 이에 따라 지구의 기후가 변하기도 한다. 1645년에서 1715년까지 70년 동안은 흑점이 거의 보이지 않았는데 이때 유럽에서는 큰 추위가 몰아치고 미국 서부에서는 극심한 가뭄에 시달린 적이 ... ...
내일은 해가 어디에서 뜰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천구에서 그리면 아래 그림과 같다.따라서 문제(1)의 정답은 A다. 해가 뜨는 곳이 매일
조금
씩 변하기는 하지만 하루 만에는 별로 표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 한달 전에는, 즉 5월에는 틀림없이 해가 더 남쪽에서 떴을 것이다. 우리는 해가 뜨는 동쪽을 바라보고 있으므로 그림에서 오른쪽이 남쪽이 ... ...
이전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