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파라메트릭 곡선으로 만드는 몸통배우에게 외모는 첫인상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캐릭터의 경우 배역에 어울리는 외모를 갖춰야 합니다. 영화 ‘도리를 찾아서’의 도리와 니모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졌지만 진짜 물고기처럼 부드럽고 매끈한 몸통을 갖췄어요. 동글동글한 외모가 귀여운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후유증도 문제다. 2011년 발표된 ‘생체부분 간이식(LDLT) 기증자의 경험’이라는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정선주)에는 간기증자 10명의 목소리가 생생히 기록돼 있다. 수술 직후 예상보다 훨씬 심한 통증을 겪었거나 소화장애, 복통, 피로, 식욕감퇴, 배변장애 등 후유증으로 병원을 방문하거나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업 때 기억이 나는 학생도 아니었다.강선일 교수는 씨근덕거리며 데이터를 들고 공과대학으로 달려갔다.“한 교수, 이거 어떻게 된 거야! 값이 하나가 안 나왔잖아!”“응?”데이터를 받아들고 고개를 갸웃거리던 한진영 교수는 손목에 있던 머리끈으로 머리를 둥글게 말아 올리더니만 AI에 ... ...
- [펜 드림 프로젝트] 서랍 속 잠자는 펜을 깨우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준 소리 없는 응원이랍니다.그림을 그려 본 적이 없는 캄보디아 친구김지수(성신여자대학교)어과동 친구들, 우리가 가 보지 못한 나라에는 내가 사는 환경과 정말 다르게 살아가는 친구들이 있어요. 캄보디아 깜뽕꼬르초등학교 친구들도 그렇답니다.저는 이곳에서 기부 받은 펜들로 미술 수업을 ... ...
- [과학뉴스] 중력파 또 한 번 관측, 노벨상 후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번씩이나 관측되면서 중력파 연구는 더욱 불이 붙을 전망이다. 한국에서는 서울대 등 4개 대학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등 2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들이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KGWG)을 구성해 라이고 과학협력단에 참여하고 있다. 라이고 데이터를 빠르게 수신할 ... ...
- [Interview] “400년 전 조선 비행기, 불가능하지만은 않았을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때 글라이더를 날리며 항공기에 매료됐던 소년은 고등학생 때부터 경비행기를 몰았다. 대학도 한국항공대를 택했고, 항공기제작연구회에 가입해 손수 항공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무리 만들어도 허전했다. ‘이게 아닌데.’ 그러던 차에 2002년 처음 비거를 만났다. 고원태 작가의 소설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있는 게 수학 밖에 없었고, 알고 있는 직업도 별로 없었어요. 생각의 폭이 좁았던 거지요.대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전략 컨설팅 회사’를 다녔어요. 컨설팅이란 다른 회사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일인데, 그들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직관과 그들을 설득할 수 있는 논리력이 ...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천문학자들은 아홉 번째 행성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행성을 찾았다.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지질·행성학과의 콘스탄틴 바티진과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은 태양으로부터 해왕성보다 20배나 더 먼 곳에 있는 행성 ‘플래닛 나인’을 찾았다는 연구 결과를 ‘천문학 저널’에 발표했다. 브라운 박사는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이전에도 아홉 번째 혹은 열 번째 행성 후보였던 천체가 여럿 있었다. 하지만 명왕성을 비롯해 수많은 천체가 결국 행성이 아닌, 왜행성★으로 분류됐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플래닛 나인이 명왕성보다도 훨씬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있다면 역시 왜행성일 거라고 주장한다. 플래닛 나인이 ...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매력에 푹 빠지게 됐지.”“우와, 그 어려운 내용을 혼자 공부했다고요?”“응. 그리고 대학 학부 과정이 끝날 때쯤 미적분 증명을 시작했어. 휴교령으로 고향에 돌아갔을 때는 미적분에 대한 연구를 거의 완성했지.”“정말 대단해요! 뉴턴 아저씨는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멋진 분이세요 ... ...
이전4404414424434444454464474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