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한빛사에 소개되면 한국 간다(교수로 취직한다는 의미)’는 소문이 있을 정도니까요.”대학원생은 선배 연구자가 문제를 돌파한 방법에 대한 노하우를 엿볼 수 있고, 중견급 연구자는 같이 연구할 동료를 찾을 수 있다. 김 교수는 “한빛사는 커뮤니티에 들어오는 모든 사람이 관심 있어 할 만한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먹고, 음식이 남으면 배가 불러도 더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영미, ‘비만도에 따른 대학생의 혼자 식사 및 함께하는 식사 시의 식행동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2). 타인과 함께 식사할 때는 섭취량을 조절하지만 혼자 식사를 할 때는 자신이 먹고 싶은 양만큼 먹음으로써 체중조절이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에서 이와 다른 연구 결과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어요.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의과대학의 마이클 스트라이커 박사 연구팀은 2010년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달리기를 하면 시각 자극에 대한 뇌 반응이 2배 이상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달리기를 하면 걷거나 가만히 있을 때보다 같은 ...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맞는 수가 된다. 15쌍의 피타고라스 수를 새겨 놓은 것이다.[플림프톤322★ 미국 컬럼비아 대학 플림프톤 소장품 322목록이란 뜻으로,바빌로니아어로 쓰인 수학 점토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높다. 그런데 이 방법만으론 젊은 과학자들의 고용불안을 해결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대학을 포함한 전체 과학계 차원에서 좀 더 구조적인 해법이 필요하다. 다음 파트에서 살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비정규직 과학자, 벼랑끝에 서다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PART 2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않고서야 어떻게 주위의 권위 있는 과학자들, 그리고 나와 이야기했던 여러 명석한 대학원생들이 이타성의 진화 연구가 지닌 가치를 제대로 보지 못했겠는가? 연구에 내재한 치명적인 허점이 내 눈에는 안 보였지만 그들의 눈에는 아마도 또렷하게 보였으니 그랬을 것이다(해밀턴, 1996년, 25쪽)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감각기관으로 사용되는가에 대한 의문은 풀 수 없었지요.그런데 최근 미국 시카고대학교 멜리나 해일 교수팀이 제가 지느러미로 촉각을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이 때문에 어두운 물속에서도 바닥에 부딪치지 않고 헤엄을 칠 수 있다는 거예요.닥터 그랜마 : 지느러미가 감각을 느끼는지 ... ...
- [과학뉴스] 친구가 웃으면 나도 씨익~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으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함께 따라 웃게 돼요. 왜 그럴까요? 최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파울라 니덴탈 교수팀은 상대방의 표정을 따라하는 것은 상대방의 감정에 동감하기 위함이라고 밝혔어요.사람은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의 표정을 통해 감정을 읽고, 앞으로 이 사람이 할 행동들을 예측해 ...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자신의 알을 바로 찾아낼 수 있게 하는 ‘표시’ 역할도 한답니다.2005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앤드류 고슬러 교수는 여러 알을 조사해, 알의 색소들이 얇은 알 껍데기를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알 껍데기의 탄산칼슘은 어미 몸속의 뼈에서 나와요. 그런데 주변 흙이나 먹이에 ... ...
- [Editor’s note] 꿈을 이루려면 수학을 배우자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참 대단해 보였습니다. 저는 대학교에서 반드시 들어야 하는 수학 과목을 끝낸 뒤로는 수학 문제를 쳐다보지도 않았거든요.처음에는 이해할 수 없었지만, 사연을 듣고 나니 고개가 끄덕여졌습니다. 그만큼 수학이 살아가는 데 쓸모가 있었던 ... ...
이전4444454464474484494504514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