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 새로운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제가 만들죠”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코드를 공개해 신뢰를 쌓는 방법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남 교수는 얼마 전 대학 강의를 위해 귀국했지만, 계속해서 테스트를 하고 있다. 그가 포기하지 않고 그 끈을 이어가는 이유는 그의 소프트웨어에 자신이 있기 때문이다. 남 교수의 도전은 진행형이다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감각기관으로 사용되는가에 대한 의문은 풀 수 없었지요.그런데 최근 미국 시카고대학교 멜리나 해일 교수팀이 제가 지느러미로 촉각을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이 때문에 어두운 물속에서도 바닥에 부딪치지 않고 헤엄을 칠 수 있다는 거예요.닥터 그랜마 : 지느러미가 감각을 느끼는지 ...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아주대학교 수학과 부교수로 있는 최수영입니다. 저는 KAIST에서 대학 생활을 했고, 석박사 과정까지 모두 KAIST에서 마쳤어요. 그리고 일본에서 1년 반 정도 박사후 연구원 생활을 하다가 2011년 부터 아주대에서 위상수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답니다.어렸을 때부터 수학에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높다. 그런데 이 방법만으론 젊은 과학자들의 고용불안을 해결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대학을 포함한 전체 과학계 차원에서 좀 더 구조적인 해법이 필요하다. 다음 파트에서 살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비정규직 과학자, 벼랑끝에 서다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PART 2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단계까지는 완성해야 한다.준희 길을 발표할 때 재미있는 일이 있었다. 캐나다의 한 대학 팀이 우리 발표를 보더니 자신들의 생체설계도를 가지고 와서 입력 값과 출력 값을 우리 프로그램에 넣어 돌렸다. 그런데 우리 프로그램이 제시해 준 경로와 캐나다 팀이 실제 설계한 경로가 같았던 거다.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것들을 도축장의 도움을 받아 연구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충북대 외에도 다른 대학과 연구소에서 비슷한 방법으로 난자를 얻고 있다. 남궁석 충북대 교수는 “난자를 구하기 쉽다는 점때문에 돼지와 소를 기반으로 한 복제와 발생 연구가 활발하다”며 “말처럼 거의 도축을 하지 않는 동물을 ... ...
- [과학뉴스] 비행기에 그래핀 장갑 끼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미국 라이스대학교 제임스 투어 교수팀은 탄소 원자가 평평하게 배열된 물질인 ‘그래핀’을 이용해 비행기 날개의 얼음을 없애는 방법을 개발해 발표했어요.비행기 날개에 얼음이 덮이면 날개 표면이 거칠어져 비행 성능이 떨어져요. 이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얼음을 녹이는 화학 물질을 뿌리거나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친구들, 자이로드롭 좋아해요? 그럼 자이로드롭이 바닥에 부딪히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자이로드롭은 높은 곳으로 올라갔다가 자유낙하 하는 놀이기구예요. 자유낙하는 외부에서 가하는 다른 힘 없이도 중력에 끌려 땅으로 떨어지는 것을 말하지요. 그런데 자이로드롭은 땅에 가까워지면 갑자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어느 쪽인가요?수학이 어떤 곳에 도움이 되는지는 별로 생각해 본 적이 없어요. 딱 한 번, 대학 다닐 때 앞으로 뭘 해야 할지 고민하다가 ‘수학을 하더라도 뭔가 도움이 되는 걸 해야겠다’고 생각했었어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학에 관심이 있어서 생태학과 밀접한 통계학을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쉽지 않더군요. 하하.정상원 학창시절 수학을 매우 좋아했습니다. 잘하기도 했고요. 대학에서 분자생물학을 전공하면서 수학을 쓸 일이 없었는데, 게임 개발을 하면서 다시 수학을 사용하고 있습니다.Q 마지막으로 게임 개발자를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조언 부탁드립니다.정상원 국영수에 ... ...
이전4454464474484494504514524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