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142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유행 코로나19 바이러스 게놈 67%가 북미·유럽 유행 GH·GR 계통"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나오면서 GH가 총 333건, GR은 19건 분리됐다”고 말했다. GR 그룹은 러시아 선원에게서
발견
됐다. 바이러스 계통은 감염원이나 감염경로를 파악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편의상의 구분이다. 다만 G 유형에 속하는 G와 GR, GH가 최근 감염력이 다소 높아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있어 예의 주시할 ... ...
전 세계 과학자 239명 ”코로나19, 공기 통해 전염”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감염학과 교수는 “코로나19 환자의 10cm 이내의 에어로졸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발견
하지 못했다”며 “또 바이러스 속 에어로졸을 얼만큼 호흡해야 코로나에 감염되는 지 모른다”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의 공기 감염 가능성에 회의적 입장을 ... ...
코로나19 '공기감염 주의보'에 마스크 중요성 더 커진다
연합뉴스
l
2020.07.06
편의점 마스크 진열대 모습. 2020.7.1 ryousanta@yna.co.kr 지난해 12월 코로나19가 중국에서 처음
발견
된 이후 감염경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마스크 착용과 관련한 보건당국의 권고도 바뀌었다. 처음에 WHO와 CDC는 일반인에게 마스크 착용은 과잉대응이라며 마스크는 보건 종사자를 위해 아껴야 ... ...
중국에 초강력 전염병 속출…"잠복하다 여건 맞는 곳에 창궐"
연합뉴스
l
2020.07.06
CDC) 소속 연구진은 지난달 팬데믹 가능성이 있는 돼지독감 바이러스가 새로
발견
됐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G4'라고 명명된 바이러스는 신종인플루엔자(H1N1) 계통으로 돼지에 의해 옮겨지나 사람이 감염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사람과 유사한 감염증상을 보이는 패럿을 이용한 ... ...
한반도 뒤덮는 규모 '최장 번개', 우주에서 보니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수백 km 너머까지 퍼져나가고 10초 이상 이어지는 초대형 번개가 관측기술이 발달하며
발견
되고 있다. 세계기상기구 제공 2018년 10월 31일 브라질 남부에 내리친 번개는 보통의 번개와는 달랐다. 일반적인 번개는 눈 깜빡할 사이에 수km 아래 땅으로 내리꽂히지만 이 번개는 709km나 뻗어 나갔다. ... ...
'빛으로 켜고 배아교정 영향도 찾았다' 진화하는 유전자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가위로 교정할 경우 돌연변이가 포함된 염색체의 상당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는 징후를
발견
했다.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하는 과정에서 상당수의 염색체가 유실되거나 섞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강은주 서울아산병원 연구조교수는 “배아 단계에서의 유전자 교정이 체세포에 어떤 영향을 줄 수 ... ...
"중증 코로나19 관련 추정 유전자, 네안데르탈인에게 받았을 가능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5
동아시아인 역시 빈도가 4% 이하로 낮았다(아래 지도). 아프리카에서 이 유전자형이 거의
발견
되지 않은 것은 현생인류가 아프리카를 벗어나 약 6만 년 전쯤 지금의 서아시아지역 부근에서 네안데르탈인과 만나 피를 섞으면서 이 유전자형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왜 ... ...
[잠깐과학]'우주배경복사'
발견
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7.04
아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윌슨이 근무한 미국 뉴저지 벨 전화 연구소의 홀름델 혼 안테나. 어린이과학동아DB 1963년 미국 벨 연구소의 천문학자인 아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윌슨은 전파망원경에 ... 어린이과학동아 13호(7.1 발행) [이달의 과학사] 펜지어스와 윌슨, '우주배경복사'
발견
하다 ... ...
[프리미엄리포트] 바이러스는 어떻게 탄생했나
과학동아
l
2020.07.04
연구 결과가 실리며 이를 반박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하수처리장에서
발견
된 거대 바이러스인 클로스노이바이러스는 오랜 세월 숙주 생물의 유전물질을 뺏어 점점 커진 것으로 밝혀졌다. 숙주세포의 DNA의 정보를 RNA로 옮기고, 다시 RNA를 단백질로 번역해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적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지를 치며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빛
동아사이언스
l
2020.07.04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달 2일 가지를 치며 뻗어 나가는 초록색 빛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아래쪽에서 시작한 한줄기의 빛이 윗쪽으로 여러 갈래로 ... “이 현상은 전자에서 처음
발견
된 현상이었다”이라며 “빛에서 또 다른 자연의 신기함을
발견
했다”고 밝혔다. ... ...
이전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