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5,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문화의 대변혁 예고하는 미래의 TV
과학동아
l
199201
봐야하는 단점이 있다.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HDTV 실용화시기는 앞당겨졌다. 88년
서울
올림픽 개폐회식을 HDTV로 시험방송했던 일본은 91년 말에 8시간 방송체제를 갖추었다. 일본의 하이비전은 뮤즈(MUSE)방식으로 인공위성을 이용해야 한다. 현재 수상기 1대가격(33인치)이 약 2천만원에 달해 당분간 큰 ... ...
코브라의 새사냥
과학동아
l
199201
기껏해야 땅바닥에 기어다니는 코브라가 천방지축으로 날아다니는 새에게 일격을 가한다.문제(1) 식물중에는 곤충같은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 것이 있다. 이런 식물들을 식충식물이라 하는데, 이중 파리지옥은 어떻게 벌레를 잡을까?① 항아리 모양의 입을 벌리고 벌레가 그 속으로 떨어져 들어오 ... ...
질소산화물 대폭 줄여주는 메탄올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01
배출하는 문제가 있으나 출력이 좋고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비가 온 다음 날의
서울
하늘은 너무도 깨끗하다. 사실 날로 심각해져가는 지구의 환경문제는 이제 먼 나라만의 이야기는 아니다.우리나라의 자동차 보급대수는 이미 4백만대를 넘어섰고 1천만대시대도 멀지않아 닥칠 것이다. 이처럼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01
큰 약점은 간섭이 일어나 무력화되기 쉽다는 점에 있다. 그런데 광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서울
의 전 통신망이 수십개의 줄로 가능하게 됐다. 광레이더는 기존의 마이크로파 레이더에서 탐지못하는 구름과 안개, 대기오염의 미세한 부분까지도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실생활에 가까이 있는 거리 ... ...
합금을 먹고 달리는 수소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01
금속수소화합물 시스템을 활용하는 수소엔진트럭을 개발하고 있다.국내에서는
서울
대 성균관대 및 과학기술원등에서 수소연료의 저장 및 연소와 관련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는 주로 수소엔진의 연소현상과 수소의 제조법 그리고 금속수소화합물 시스템 등 저장방법에 대한 연구가 ... ...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01
중요한 업적을 남기게 될 것이다.남도천문연구회의 앞으로 목표는 지역간 교류. 특히
서울
의 앞선 아마추어천문인들과 여러가지 각도에서 도움을 주고받을 예정이다. 아직까지 이 모임에는 망원경을 직접 자작하는 사람이 없는데 전문가를 초빙해 강좌를 열 계획도 갖고 있다. 또한 일본측의 빠른 ... ...
내일의 우주인 꿈키워주는 일본 「스페이스 캠프」
과학동아
l
199201
더 강조돼 보인다.스페이스월드의 정문을 들어서면서 받은 첫 느낌은 우리의 과천
서울
대공원이나 용인자연농원과 겉보기에 그 수준이나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다는 것이었다. 실제 스페이스월드가 자랑하는 스페이스 캡이나 코스모 파이터(Cosmo Fighter)등의 놀이시설은 세련미가 더할 뿐 그 ... ...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12
이를 전망이다.양보다 심각한 것이 질적 저하의 문제다. 교육환경이 가장 우수하다는
서울
공대가 올해 발간한 백서의 내용은 충격적이다. 교수 1인다 학생수가 31명으로 선진국의 7~10배에 달하며 교수1명의 주당 강의부담이 10학점, 연간 7.5과목을 담당해야 한다. 공대생 1인당 연간 실습비가 5만 ... ...
악어
과학동아
l
199112
나도 알고보면 허약한 동물이다. 알과 새끼일 때는 물론이고 다 커서도 번번이 당하기 일쑤니2억6천만년 전인 고생대(古生代)의 석탄기에는 늪과 기괴한 식물들이 자라 무성한 숲을 이루고 있었다. 또한 이상한 모양의 곤충들이 우글거리며 날아다녔다. 물속에서는 살갗이 번뜩이는 양서류가 먹이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12
강력히 주장하고 나섰다.블랙박스로 불리게 된 문제의 품질측정시스템은 89년 5월부터
서울
시내 각 전화국에 은밀히 설치됐다가 90년 국정감사 직전에 일제히 수거됐다 국회는 X-프로젝트로 불리는 이 시스템개발사업에 참여한 과학자들의 증인심문까지 벌이며 도청여부를 확인하려 했지만 이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