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5,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제3회 보람과학퀴즈대회 열려
과학동아
l
199112
고취하기 위해 매년 겨울방학을 이용해 열리는 이 대회는 보라매청소년회관이 주최하고
서울
시내 중고교의 뜻있는 과학교사들이 문제출제에 도움을 준다.참가자들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 퀴즈의 형식을 빌리기는 하지만 단답식의 해답을 요구하는 일반퀴즈와는 달리 참가자들의 창의적인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12
시작되면 자동으로 켜지기도 한다.대우전자와 함께 이러한 하이터치 상품을 개발한
서울
대학교의 이면우 교수의 말에 따르면 "하이터치란 상품의 설계와 개발에 있어서 인간을 위주로 생각하도록 한 개념이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상품은 소비자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한 것이다.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12
신소재 연구가 아무래도 상품의 생산기술과 직결돼 있기 때문에 국내 대학의 연구수준은
서울
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항공대 경북대 등 몇몇 대학을 제외하고는 일천하다. 대학의 신소재 관련 학과로는 전자공학과(전자재료과 포함) 금속공학과 재료공학과(무기재료과) 고분자공학과 섬유공학과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12
응답을 해야만 작동되는 기능을 부가해 1대 1대화식 학습이 가능하도록 했다.이 발명품은
서울
올림픽 통역안내원 교육용으로 채택돼 진가를 이미 발휘한 바 있다. 북경아시안게임이 열리기 직전에는 중국에도 1백50대가 수출됐다. 현재 미국에서는 이 발명품은 1대당 1천50달러에 팔리고 있으며,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12
오는 95년에는 6억2천만달러에 이를 전망. 하지만 본격적인 제품연구는 아직 부진하다.
서울
대 성굉모 교수팀이 지난 2년동안 초음파 진단용 탐촉자를 개발해 일부 중소기업에서 생산해내고 있으며, KAIST의 김호기교수팀이 차세대 전화기용 압전세라믹스를 개발한 정도.기능성 신소재는 아직 ... ...
공전의 히트 기록한 한글 워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112
8년 겨울방학을 이용해 이찬진 등
서울
대생 4명이 만든 한글 워드프로세서. PC 사용자라면 누구나 즐겨쓰는 이 프로그램은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정판을 계속내 현재 1.51판까지 나와 있다.한글 워드프로세서 한글은 89년 4월 세상에 처음 선을 보인 이후 몇번의 개정을 거쳐 현재는 1.51판까지 ... ...
PC통신 확산의 밑거름
과학동아
l
199112
얻기 시작했다. 하늘소가 잇따라 다른 소프트웨어들을 발표했고 하늘소의 활약은 지방과
서울
간의 격차를 해소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초기에는 그전에 발표된 다른 제품보다 못하다는 지적도 있었지만 하늘소팀은 꾸준히 문제점들을 파악해 수정해갔다.하늘소는 88년 10월 3일 개천절날 경북대 ... ...
(2) 6공 과학기술정책을 움직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112
과학기술자문역을 담당하는 과학기술자문회의는 89년 6월5일 조완규 당시
서울
대 총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30명의 위원으로 90년 말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돼오다 급변하는 과학기술 여건과 수시로 발생하는 과제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상설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금년 5월31일에 설치됐다 ... ...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12
이용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회원들이 편지로 필요한 정보를 전해주고 있다.(주소
서울
시 송파구 잠실본동 우성4차 Apt 105-503 권오상 138-229)한편 '멋진 신세계'는 무료대관시설을 이용해 걸작SF영화 시사회를 가지는 일도 추진중이다. 현재 거론되는 작품은 화성탐험을 다룬 '듄(Dune)', '2001년 우주의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12
왜 하필이면 캄브리아기에 이르러 생물들이 「폭발적 번성」을 하게 됐을까?지구는 태양계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범위내의 우주에서 유일하게 생물이 살고 있는 곳이다. 왜 지구에만 생물이 있는가. 생물은 언제부터 지구상에서 살기 시작했을까. 옛날에도 현재와 같은 종류의 생 ... ...
이전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