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d라이브러리
"
연결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혈관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하지만 인공혈관에 그런 세포가 있을 리 없다.인공혈관을 자연혈관 중간 부위에
연결
했을 때 자연혈관의 내피세포는 인공혈관쪽으로 자라나간다. 그러나 그 길이가 한정돼 있다. 1cm가 고작이다. 만일 5cm 길이의 인공혈관을 이식한다면 중간의 3cm 정도는 내피세포가 없는 공간이 돼버린다.이 문제를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신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일이 발생한다.인공신장은 기능을 상실한 신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을 몸 밖으로
연결
해 걸러내고 깨끗한 혈액을 몸 안으로 되돌려보내는 장치다. 대표적인 방법은 고분자막을 이용하는 것이다.혈액정화에 주로 사용되는 고분자막을 중공사막(中空絲膜)이라고 부른다. 속이 비어있는 원통모양의 ... ...
당신의 생명을 구해주는 튜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시트예전에는 푹신푹신한 소파와 같은 시트가 인기를 끌었지만 쉽게 미끌어져 사고로
연결
되는 경우가 많아 요즘은 인기가 시들한 편. 반대로 버킷타입의 시트들이 새로 출시되는 승용차들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운전자의 상체 양 옆이 튀어나온 버킷(bucket)시트는 몸을 감싸주기 때문에 급회전을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뼈·연골·관절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관절을 통해
연결
되며, 옆에 인대와 근육이라는 조직이 붙어있다.만일 뼈와 뼈가 직접
연결
돼 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단단한 뼈가 서로 부딪히면서 소리는 물론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해 관절부위가 빨리 손상될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절 내에 존재하는 것이 연골(물렁뼈)이다. ... ...
일본 규슈 화산지형 탐사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흘러내린 용암으로 오수미반도의 육지와
연결
됐다. 가고시마에서 사쿠라지마를
연결
하는 해안은 칼데라 지형으로 화산이 폭발 후 바다물이 들어와 만을 형성하고 있다. 사쿠라지마 남쪽의 용암공원에서는 비행기가 지나가는 것 같은 ‘우우웅’ 소리를 간헐적으로 들을 수 있었다. 화산이 살아 ... ...
온라인 최대이슈 인터넷쇼핑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위하여 실제 상거래가 온라인으로 옮겨와야기업들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세계를
연결
하는 인터넷이 '가장 이상적이며 미래지향적인 비즈니스 환경'이라는 판단 하에 '코피티션'(copetition: cooperation과 competition, 즉 협력과 경쟁의 합성어)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내며 일단은 어깨동무를 걸고 '황금알 ... ...
허블망원경 수리 우주 생중계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승무원들과 미항공우주국 관제소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을 인터넷에
연결
시켜 놓았다.디스커버리호를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자재로 돌려가며 그 모양을 살필 수 있다. 퀵타임VR 플러그 인이 필요하다. 좀 번거롭긴 하지만 일단 실행되는 것을 보면 플러그인을 설치한 보람을 느낄 수 있을 ... ...
캠프촌에서 열리는 해커회의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캠프에 참가하는 모든 이들의 컴퓨터를 ‘인터텐트’ 라는 이름의 네트워크로
연결
시키고, 이를 다시 인터넷과 접속시킬 계획. 여기에 뉴욕에서 회합을 갖는 또다른 해커 단체인 ‘희망을 넘어’와 공동으로 회의를 연다는 것이다. 현재 두 모임은 회의에 참여할 연설자와 현란한 해킹 실력을 ... ...
서커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근육이 이완될 때 이 섬유들은 아코디언 모양으로 약한 주름살이 얽혀지면서 서로
연결
돼 있다가, 우리가 무릎을 굽히든지 해서 섬유를 잡아당기면 펴지고 늘어난다. 그러나 얽혀진 섬유들은 늘어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힘을 받아도 늘어나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에 ‘당기는’ 느낌을 ... ...
Ⅲ. 인공장기의 대안 미사일약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적은 고분자물질을 이용한다. 고분자는 사슬과 같은 구조다. 작은 고리들이 반복적으로
연결
돼 긴 사슬을 이루듯이, 고분자(polymer)는 단량체(monomer)들이 반복적으로 결합해 긴 분자사슬을 이루고 이들이 얽혀 그물과 같은 구조로 만들어진 형태다. 만약 약이 이런 고분자막으로 둘러싸여 있거나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