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간단한 법칙이 존재하는 시스템이라고 해도 비선형 항이 포함돼 있으면 초기 조건이
조금
만 달라져도 전혀 엉뚱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운동 궤적은 확률론적 시스템처럼 굉장히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해 보이지만 법칙이 존재하는 이런 ... ...
'달밤에 체조' 병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할 수 있게 만드는 기회다. 운동할 시간을 따로 낼 수 없다면 평소 출근 시간을
조금
앞당겨 버스에서 미리 내려 직장까지 걸어가보자. 또 직장에서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계단을 이용해보자. 점심 시간이면 잠깐 시간을 내서 회사 옥상에 올라가 줄넘기를 하는 것도 좋은 ... ...
동물의 아비사랑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끄나풀이 달려있는 ‘조건의 사랑’이라면 어머니의 사랑은 개가 새끼를 아끼는 것과
조금
도 다름없는 ‘무조건의 사랑’이다. 어디에서 이런 차이가 나오는 것일까. 지고지순한 모정의 뿌리는 무엇이며 그 샘은 어디인가.한가지 가능한 설명으로 모정과 부정의 차이가 내분비물질인 호르몬 때문에 ... ...
사이버에 중독 되셨습니까?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마력에 중독된 사람들은 점점 더 큰 권력을 찾아 안절부절을 못하고(내성), 권좌에 대한
조금
의 위협만 느껴도 극도의 불안과 초조증상을 보이고 심지어 이성을 잃고 광기를 휘두르기도 한다(금단). 엄밀성을 추구하는 정신의학에서는 생리적 의존이 결여된 심리적 의존만으로는 ‘중독’의 진단을 ... ...
고인돌과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대표하는 큰돌문화의 상징,고인돌.언뜻보면 그저 덩치만 큰 돌 같지만
조금
만 생각하고 보면 옛사람들이 자연의 이치를 깨닫고 만든 과학적인 구조물이란 것을 깨달을 수 있다.고인돌과 함께 시간여행을 떠나보자.봄나들이 철을 맞이해 문화유적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한반도의 문화유적 중 ... ...
동물병원 24시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데려 왔더니 몸 속에 암 덩어리가 자라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는 강아지도 있다.사람들은
조금
이라도 아프면 약을 먹거나 병원을 찾는다. 그러나 동물은 자신의 고통을 말할 수 없는데다가, 저러다 말겠지 하고 대수롭지 않게 보는 주인으로 인해 동물병원에 올 때쯤엔 이미 손쓸 수 없는 경우가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③ 교실을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옮겨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정비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세종 7년, 박연이 황해도 해주에서 생산되는 기장(좁쌀보다
조금
큰 낟알) 중에서 중간 크기인 것을 골라, 1백알을 나란히 늘어놓고 그 길이를 황종척 1척으로 정했다. 길이가 30.3cm인 황종척은 실제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여러가지 척도의 기준이 됐다. 특히 악기의 ... ...
망원경으로 엿본 은하마을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두께는 3천 광년으로 우리은하의 2배에 달하며, 지름 11만 광년으로 우리은하보다
조금
더 큰 규모이다. 하지만 실제 망원경으로 보이는 모습은 표면 밝기가 낮아 은하 중심부를 제외하고는 잘 보이지 않는다.5 M49와 퀘이사 3C273마지막으로 은하단의 남쪽지역에 있는 M49와 퀘이사 3C273을 찾아보자. M4 ... ...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사람이 직접 재보지 않아도 우량 수치가 통제센터에 들어온다. 이를 보면 기계 장치가
조금
더 정교해졌을 뿐 비와 바람을 측정해서 기상을 이해하려고 하는 과학정신은 예나 지금이나 매한가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지금은 지구 위를 돌고있는 기상위성들이 수시로 보내오는 위성사진과 레이더로 ... ...
Ⅱ. 신나는 과학수업의 현장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다. 그 중 컴퓨터 소프트웨어인 파워포인트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조금
씩 늘고 있다. 파워포인트로 수업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면서 필기 시간을 줄이고 학생들의 발표시간을 늘리고 있다. 그런데 김형석 교사는 강의 내용을 정리해 보여주는 것에 덧붙여 새로운 기능을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