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5,8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11
- 거듭나기 위한 로봇은 개발 중에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의료, 금융, 법률 등의 분야에서 전문가를 도울 수 있는 인공지능인 엑소브레인을 개발 중이다. 2016년에는 장학퀴즈에서 우승하는 것이, 2020년까지는 취업 시험에 통과하는 것이 목표다.의사들이 약을 처방하는 데 도움을 줄 ‘닥터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11
- 2015 고효율자동차미래동력포럼에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의 자동차 분야 연구개발 예산 자체는 2011년 1088억 원에서 2015년 1455억 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내연기관 과제에 지원되는 돈은 167억 원에서 50억 원으로 4년새 70%나 줄었다. 전체 예산의 69%인 1006억 원이 자동차 부품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11
- 약점이 드러나자 극적으로 다시 부활했다. 느린 빛을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는 양자컴퓨터와 양자통신이다. 필자가 연구하고 있는 광주과학기술원 광양자센터가 주목하는 것은 느린 빛과 소리의 결합이다. 전자기파와 반응하는 기존의 빠른 빛과 달리, 느린 빛은 음파에 특이적으로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11
- 중국인 과학자 수가 급격히 늘었다는 것이다. 리 교수는 “랩 온어 칩이 바이오의약 분야 실험 환경을 완전히 바꿀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라며 “다른 나라가 앞서가기만을 기다리지 말고 과감한 투자로 기술을 선도해야할 것”이라고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11
- 사람으로 타오 교수를 꼽을 만큼 현재 그는 세계 최고의 수학자다. 현대 수학에서는 여러 분야를 두루 섭렵한 수학자가 없는데, 그는 폭넓게 수학 연구를 하고 있다. 타오 교수의 다음 연구 결과가 어떤 것인지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 ...
- 출간 150주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수께끼로 다시보기수학동아 l201511
- 가르쳤다. 정통 수학에서 뛰어난 연구 업적을 남기진 않았지만, 수학 레크리에이션 분야에서는 독보적이었다. 비슷한 발음의 단어를 사용한 언어유희나 각 행의 첫 글자를 맞히면 하나의 말이 되는 시, 수수께끼, 마술 트릭 등을 만드는 데 달인이었다. 1856년, 24세 청년 캐럴은 대성당에 사진을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11
- 참가자들이 모하비 사막을 탐사하는 모습(➌).사실 우주생물학연구에서 가장 활발한 분야 중 하나는 외계 생명체를 탐사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구에서 생명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밝혀내는 탐사다. 지구에서 어떻게 생명이 시작됐는지 이해하면, 다른 곳에서 생명이 탄생할 가능성도 알 수 있다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11
- 해주는 것도 아니다. 미국 미시간대 심리학과 트로이 캠벨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어떤 분야에 경험이 많은 사람이 도리어 사람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다.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그 일에 지나치게 익숙해져 버려서 이를 처음 겪는 사람들이 느낄 충격을 과소평가하기 때문이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서울공대카페 34 에너지자원공학과]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11
- 마지막으로 에너지자원공학과에 잘 맞을 것 같은 학생은 어떤 학생인가요?정은혜 이쪽 분야에 있다 보면 해외에 나갈 일이 많아요. 우리나라가 자원이 풍부한 나라는 아니니까, 이곳 저곳 나갈 기회가 많아요. 이런 점을 잘 인내할 수 있는 사람이 유리합니다. 또 자원공학이라는 게 불투명한 ...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11
- 특징 외에도 당시 지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과학자들이 가장 관심 있게 연구하는 분야가 기후다. 미국 애리조나대 지구과학과의 잭 울프 박사는 현재 지구상에서 기후가 따뜻한 지역은 잎이 넓은 활엽수가, 추운 지역은 잎이 바늘처럼 뾰족한 침엽수가 많이 자란다는 점에 주목해 식을세웠다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