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물"(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당신의 표정을 진화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누가 고양이를 도도하다고 했던가. 나와 동거 중인 고양이 미미는 평소에도 사람한테 치대는 걸 좋아하는 ‘개냥이’다. 미미는 같이 누워서 자기 목덜미 ... 여행가보다 독창적인 전략으로 지구를 누볐던 식물들의 모험을 만날 수 있다. 조용하지만 용감했던 식물의 여정을 따라가 보자 ... ...
- [신 기후체제] 남은 0.4℃를 지켜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생존력이 높은 작물을 개발하기도 한다. 지난해 1월 극지연구소가 개발한 벼는 남극 식물에서 발견한 유전자를 삽입해 온도와 습도 내성을 높였다.방글라데시처럼 이미 기후변화에 의해 태풍과 폭우, 홍수 등의 피해를 자주, 강하게 겪고 있는 나라들은 좀 더 현실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한다. ... ...
- [4컷 만화] 헥헥, 무거워! 지구에게 너무 무거운 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모델링을 통해 1900년부터 2020년까지 전 세계 생물(인간이 키우는 가축을 포함한 각종 동식물)의 총질량과 인공물(콘크리트나 플라스틱처럼 인간이 만든 고체 형태의 무생물) 총질량의 변화를 추적했어요.그 결과, 인공물 총질량은 20년마다 2배씩 빠르게 늘어났고, 2020년 누적 약 1조 1000억t(톤)을 ... ...
- [질문하면 답해ZOOM] 귤은 왜 누른 후에 먹으면 더 단맛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등의 피해를 입거나 미생물에 감염이 됐을 때에도 나와요. 이는 에틸렌이 세균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기 때문이죠. 즉, 사람이 귤을 주무르면 단맛이 나는 이유는 귤이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에틸렌을 분비한 덕분이에요. 에틸렌이 귤의 숙성을 촉진하는 과정에서 귤 속에 있던 전분이 단맛이 나는 ... ...
- 5만 년 전 한반도에 거대 운석이 떨어졌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위력을 행사하며 지구 생태에 방대한 영향을 미쳤다. 공룡이 멸종했고, 지구상의 동물과 식물의 75%가 사라졌다. 이후 포유류가 지상 생물의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미궁 속에 있던 적중-초계분지 생성 원인 대구에서 낙동강을 따라 내려오면 황강이 합류하는 지점이 나온다. 이곳을 지나면 독특한 ... ...
- [신 기후체제] 기후위기 극복 나선 ‘쿨한’ 기업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전환할 것을 약속했다.조하나 풀무원 환경안전팀 담당자는 “두부를 시작으로 다른 식물성 단백질 제품군으로탄소발자국 인증 제품을 늘려갈 예정”이라며 “기업은 먼저 솔선수범해 탄소배출을 줄이고, 소비자에게 저탄소 제품을 제공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 ...
- [출동!기자단] Canon과 함께하는 초근접 생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모습을 자세히 담아야 하죠. 이 ‘접사 렌즈(매크로 렌즈)’를 사용하면 아주 작은 식물도 화면을 가득 채워서 찍을 수 있어요. 접사 렌즈란 접사 촬영을 위해 만들어진 확대용 렌즈예요. 일반 스마트폰으로는 아무리 확대해도 절대 찍을 수 없는 사진을 이 렌즈로는 찍을 수 있답니다.”서울숲 근처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지사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동정*하고 있어요.그리고 최근 중간 결과로, 4년간 탐사 대원들이 가장 많이 만난 귀화식물을 추렸습니다. 가장 많은 종은 개망초였고, 서양민들레와 토끼풀, 소리쟁이, 망초가 뒤를 이었답니다. 용어정리* 동정 : 생물의 분류학상의 소속이나 명칭을 바르게 정하는 일 ... ...
- 데이터로 작곡한 교향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DMZ)에 사는 식물종 중 원시종인 ‘솔잎란’과 유전적 차이가 큰 식물 20종을 선별해 식물 유전자를 음악으로 바꿨어요.전시에 참여한 이다영 작가는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인 아미노산을 음으로 바꿨어요. 아미노산의 분자량으로 소리의 세기를 표현하고, 아미노산이 물 분자와 결합하는 성질에 ... ...
- [이달의 과학사] 섭씨 온도를 만든 셀시우스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경우가 더 잦아서 그랬다고 추정해요.셀시우스가 죽은 이듬해인 1745년, 친구였던 식물학자 칼 폰 린네가 이를 뒤집어서 현재와 비슷한 온도 체계로 만들었어요. 이후로 널리 퍼진 섭씨 체계는 현재 세계 거의 모든 곳*에서 쓰인답니다. *미국에서는 섭씨와 다른 온도 체계인 ‘화씨(℉)’가 주로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