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응용과학"(으)로 총 2,13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우리는 항상 길 찾기를 한다. 그런데 내가 어떻게 목적지까지 길을 잘 찾아가는 걸까. 길 찾기에는 생각보다 복잡한 능력이 필요하다. 현재 내가 어디에 있는지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하고, 여러 경로 중 최선을 선택해야 한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뇌 속에 있는 지도와 GPS, 그리고 내비게이션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올해도 일본은 노벨상 수상자를 세 명 배출했다. 이번엔 물리학상이다. 이제 일본의 수상은 놀랍지 않다. 노벨상, 특히 과학 분야 상을 발표할 때가 되면 ‘이번엔 누가 받을까’에 앞서 ‘올해도 일본이 받을까’라는 생각이 먼저 들 정도다. 1949년 유카와 히데키가 물리학상을 받은 이후, 지금까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아래 문제가 황당해 보이는가. 진짜 황당한 건 5가지 방법 모두 실제 쓰인다는 사실. 동물을 야생에서 한 마리씩 구분하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작년 여름 돌고래 제돌이가 제주도 앞바다로 돌아갈 때도 그랬다. 사람들은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해 제돌이 등지느러미에 숫자를 새겨넣어야 한다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한창 잘 나가다가 연구가 벽에 꽉 막힌 상황이었어요. 절벽 위에 서 있다는 느낌이 들었죠. 완전히 새로운 걸 해야겠다 싶어서 도전한 게 제올라이트로 메조다공성 물질을 만든 연구였어요. ‘사이언스’지에서 2011년 10대 성과로도 꼽혔는데 그걸 연구하다 정작 교수평가에서는 D를 받았죠. 어려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현존하는 지상 최대의 동물인 코끼리는 이름처럼 코가 가장 긴 동물이지요. 코라고 부르지만, 사실 윗입술과 코가 합쳐진 기관입니다. 무려 15만 개의 근육으로 이뤄져 있어서 수백kg 이상을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는 성난 코끼리가 코로 나뭇가지를 잡고 흔들거나 던져서 사나운 맹수를 퇴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미국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bioengineering)의 이진형 교수는 공학과 의학, 생물학을 넘나드는 대표적인 ‘융합 연구자’다. 서울대(학사)와 스탠퍼드대(석·박사)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했지만, 지금은 신경학 및 신경과학을 연구하며 뇌의 신경세포인 뉴런을 자극해 뇌질환을 치료하는 기술을 개발하 ... ...
- [뉴스포커스] 제13회 전국 학생 과학·수학 논술대회 수학 부문 수상자 발표수학동아 l2014년 10호
- “평소 수학과 관련된 책을 많이 읽었는데, 그동안 쌓여 온 지식과 생각들이 이번 논술대회를 통해 쏟아져 나온 것 같아요. 다시 한 번 수학의 신비와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었어요.”‘제13회 전국 학생 과학·수학 논술대회’ 수학 부문 특별상을 수상한 조현우(경남과학고 3학년) 군의 말이다.이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 과학의 고래바다와 만나 진화한 첨단과학Q 오랫동안 바다를 연구해온 교수님은 바다가 어떻게 보이시나요?A 저도 보통사람과 똑같습니다. 끝이 보이지 않는 지평선을 보면서 바다의 크기에 놀라고, 시원한 바다를 보면 뛰어들고 싶습니다. 바다를 공부하게 된 것도 바다를 좋아해서입니다. 바다 ...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대학의 존재 이유는 다양하다. 전문적인 교육으로 인재를 배출하고, 진리에 대한 탐구로 사회에 기여하는 것. 이를 통해 한 국가, 더 나아가 인류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 이런 측면에서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책임감은 막중하다. 특히 기초과학의 성과를 사업화하는 과정은 국민이 과학기술의 혜택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영화 에 등장하는 골룸과 영화 의 주인공 시저의 공통점은 뭘까?바로 둘 다 컴퓨터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 가상의 캐릭터라는 점이다. 대체 골룸과 시저 같은 가상 캐릭터는 어떻게 사람이 원하는 대로 움직일까?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수학동아 독자기자들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