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음박질
뜀박질
d라이브러리
"
주행
"(으)로 총 580건 검색되었습니다.
3만분의 1확률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주행
을 해보고 그린랜드와 같은 혹한지역에서도 테스트를 해본다.신차개발 때 30만km를
주행
해 내구력 테스트를 했다는 말은 실제 30만km를 달렸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하루에 1천km씩 달려도 3백일에 가까운 시간동안 계속 달릴 수는 없는 일이다. 이때 이용되는 것이 벨지안 로드(Belgian road)다. ... ...
당신의 생명을 구해주는 튜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쇼크업소버를 교환하면 바퀴정렬을 다시 해야 한다. 만일 정렬을 하지 않고 그대로
주행
하면 장기적으로 타이어의 편마모가 발생하고 핸들이 한쪽으로 쏠려 결국 정상적인 운행이 힘들어진다.쇼크업소버가 차체의 상하진동을 흡수하는 것처럼 옆 진동은 스테빌라이저(stabilizer)란 장치가 막는다. ... ...
속도의 매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불법운행은 숨길 수 없다.자동차의 안전거리는 얼마?중부고속도로에서 허용된 최고
주행
속력는 1백10km/시, 그밖의 고속도로에서는 1백km/시다. 이때 차들은 갑자기 앞에 장애물이 나타날 것을 대비해 얼마의 안전거리를 두고 운행해야 할까.운전자가 장애물을 발견하고 브레이크를 밟는 짧은 ... ...
잘못 알려진 코리올리 효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한다.그러나 실제로 코리올리 힘은 아주 약하다. 우리가 늘상 접하는 다양한 회전들(
주행
중인 자동차의 바퀴, 노래가 흘러나오는 음악CD, 물이 빠지고 있는 배수구)과 비교해보면 지구 회전은 아주 미약하며 하루에 단 한 바퀴 돌뿐이다. 반대로 배수구의 물은 몇 초만에 한번 회전을 하므로, 지구에 ... ...
모르면 더 위험한 안전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다만 대안이 없기 때문에 문제제기가 적을 뿐이다. 충격이 적은 충돌이나 센서 이상으로
주행
중 에어백이 터지면서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 오히려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순식간에 부풀어오르는 풍선에 의해 운전자의 얼굴에 찰과상이나 화상을 입힐 가능성도 있다.에어백과 관련한 사고는 ... ...
카레이싱 -극한을 돌파하는 첨단의 경연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조건이다.경기자는 우선 지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그대로 받아야 한다. 3백km의 거리를
주행
하는데 많게는 시속 3백km 이상, 적게는 90km로 급격히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며 2시간 이상을 쉬지 않고 달려야 하기 때문이다. 전투기의 출동시간은 이보다 훨씬 적다.마라톤 선수가 풀코스를 두시간이 약간 ... ...
공룡알 판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전기자의 역토크를 이용해 제동력을 얻는 방식차체를 지지하고 궤도 위를
주행
하는 데 필요한 전동기 브레이크 장치 및 차륜 등을 구비한 차차대(車臺)의 프레임에 차륜을 고정함과 노면에서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완충장치차량 질량 중에서 스프링을 거치지 않고 레일에 직접 ... ...
재활용 개인 우주선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많거나 반대로 제동력이 크면 코너링력이 떨어져 중심을 잃고 원래 가고자 하는
주행
라인을 지키지 못한다 TCS는 이에 대한 방지책으로 고안된 것이다 TCS는 코너에서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를 정도 이상으로 밟아 구동력이 높아져 위험한 상황에 놓일 때 특히 유용하다 TCS는 속도 센서가 부착된 ... ...
2. 서비스로봇 빅4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수증기를 분출하는 화구 근처 경사면에 내려진 단테는 화산의 복잡하고 불안정한 지형을
주행
해 분화구 안 1백50m 지점까지 촬영했으며, 화산가스의 온도 등을 가까이에서 관측했다. 당시 단테는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나사연구소에서 원격조정됐으며, 로봇이 송출하는 화상은 조정실에서 ... ...
오일색깔로 건강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기어오일은 자동변속기 기어오일만큼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주로 3만 내지 4만km
주행
후 교환해주면 된다. 4계절용 부동액은 1년에 한번 교환자동차에서 두번째로 많이 접하는 액체는 냉각수다. 냉각수는 엔진에서 발생된 열을 엔진룸 맨 앞에 위치한 라디에이터와 순환하면서 팬이나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