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사
바다
해병대원
바다위
파두
해운
d라이브러리
"
해상
"(으)로 총 1,006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1대당 프로펠러가 4개씩 달려 있고 무게는 1kg이 안된다. 아울스는 다양한 각도에서 고
해상
도 영상을 찍어 적의 위협을 감지한다. 대기에 뿌려진 독성물질도 탐지할 수 있다. 만약 8대 중 일부가 파괴되거나 고장이 나더라도 나머지 헬리콥터가 임무를 대신하도록 프로그램이 입력돼 있다. 미국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그 패턴이 서로 달랐다.맥길대 심리학과의 대니얼 레비틴 교수팀은 2005년 PET보다
해상
력이 좋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기분 좋은 음악을 들었을 때 뇌의 활동을 정밀 조사했다. 그 결과 복측 줄무늬체에 있는 중격의지핵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뇌의 보상센터라고 알려진 ... ...
[천문]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에 호랑이 줄무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8월 18일 토성탐사선 카시니가 찍은 엔셀라두스의 고
해상
도 사진을 공개했다.엔셀라두스는 지름이 달의 7분의 1밖에 안 되지만, 메탄과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같은 유기물을 포함한 옅은 대기가 있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 천체다.이번에 공개된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제공할 해양관측망과 종합해양과학기지를 마련하는 한편, 자연환경을 고려해
해상
호텔이나 해중전망대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는 일도 조심스럽게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바다 한가운데 시설에서 한가로이 노니는 바다사자를 바라보며 독도를 연구한다면 더 이상 일본이 우리 땅을 넘보지 ... ...
[물리]변압기가 작동하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설치해 안전하게 운전하고 있으며,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 초대형
해상
송전선로를 건설해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전력 손실량을 줄이고 대전력을 운반할 수 있는 수송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765kV 송전계통을 구성, 운영하는 등 송변전 전력 기술을 비롯한 다방면의 초고압 대전력 ... ...
[고고학]‘직소퍼즐’ 풀듯 벽화 복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걸리는 시간을 10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다.돕킨 교수팀은 스캐너로 벽화 조각을 고
해상
도로 기록한 뒤 조각을 360°로 회전시키며 레이저 거리계를 이용해 다양한 각도에서 조각의 폭과 깊이를 측정했다. 그 다음 조각을 뒤집어 같은 과정을 반복했다. 이렇게 분석한 데이터는 그립호스를 이용해 ... ...
목성과 즐거운 화상 채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감도가 높은 동영상촬영용 CCD가 장착돼 있다. 이 센서들로
해상
도가 높지는 않지만 짧은 시간에 많은 사진을 연속으로 찍어 동영상을 만든다.웹카메라를 천체망원경에 연결해 목성처럼 밝은 행성을 촬영하는 경우 보통 1/15~1/50초 사이의 노출로 연속촬영 한다. 만약 1/15초 ... ...
2. 두꺼운 얼음 밑에서 지하자원 캐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국가들은 다른 국가들의 기술력과 투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미 서캄차카
해상
지역에 탐사광구를 확보해 석유자원을 찾고 있으며, 러시아 북극지역 광구확보에도 힘쓰고 있다.게다가 어느 나라 영토에도 속하지 않은 북극권 주변 지역을 남극과 마찬가지로 세계 공동관리지역으로 ... ...
바닷물 온도로 태풍 강도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남부 지역에 다시 한 번 출항한다. 오키나와 남측해역의 바닷물 상층구조와 동중국
해상
에서 태풍이 지날 때 바닷물이 어떻게 변하는지 측정할 계획이다. 이 자료를 토대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태풍이 지나기 전후의 수온과 바다의 구조 변화를 분석하면 해양순환모델과 태풍예측모델을 개발 할 수 ... ...
지구온난화와 제트기류의 합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더 뜨거워진 육지에서 대기가 더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더 많은 수증기가 더 빨리
해상
에서 육지로 이동한다. 따라서 강우 강도가 높아지며 호우 발생 가능성도 커진다.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가 이미 습한 공기 때문에 밤에도 25℃ 밑으로 안 떨어지는 열대야에 시달리는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낮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