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사
바다
해병대원
바다위
파두
해운
d라이브러리
"
해상
"(으)로 총 1,00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추가로 수주했다. 2003년 태국에 위성자세제어용 부품을 공급했고 터키와 싱가포르에는
해상
도 10m의 전자광학카메라를 수출했다. 아리랑 2호의 위성영상 수신처리시스템을 개발하기도 했다.장 부사장은 “현재 소형위성 시장의 리더는 영국 서리대가 주축이 돼 세운 SSTL사”라며 “우리는 소형위성 ... ...
HDTV 다음은 3DTV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2차원과 3차원 변환이 가능한 42인치 풀HD급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선보였다. 삼성 SDI는
해상
도를 2배 높인 3차원 디스플레이와 모바일용 3차원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삼성전자 역시 휴대용 3차원 디스플레이와 2차원, 3차원 영상을 섞어서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발했다.현재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발사할 때 접힌 상태로 있다가 우주궤도에서 원래대로 펼쳐지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고
해상
도 영상을 찍을 수 있다. 고성능카메라를 소형위성에 실을 수 있다는 뜻이다. 소형 아니죠, 초소형 맞습니다1990년대 들어 미세전자기술, 미세가공기술과 같은 소형화·경량화 기술이 소형위성 개발에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1μm=${10}^{-6}$m) 크기로 움푹 패인 ‘중심와’로 갈수록 추상세포의 밀도가 증가하며 눈의
해상
도는 높아진다.1981년 호주의 안과의사 휴 테일러는 야외생활을 주로 하는 호주의 원주민을 대상으로 시력에 대한 연구를 했다. 그들은 평균 시력이 1.6~2.0이었으며 굴절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드물었다. ... ...
실리콘과 유기물 중매해 손톱만한 슈퍼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몸 담은지 3년째 되던 해에 구 박사가 처음 맡게 된 일은 수입품보다
해상
도가 훨씬 좋은 STM을 제작하는 일이었다.당시 연구원에서는 STM을 모두 수입해 쓰고 있었는데, 때마침 과학기술부에서 실험 장비를 국산화하는데 연구비를 지원했다.“남들이 짧은 기간에 논문을 많이 써내는 연구를 하고 ... ...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푸리에 성분과 출력 분포의 푸리에 성분의 비를 공간 주파수의 함수로 나타낸 것이며
해상
력을 표시하는 방법을 말한다레스폰스함수는 전기회로의 주파수 응답에 해당된다 1930~ 미국의 물리학자 J 바딘, J R 슈리퍼와 함께 초전도(超傳導) 현상을 해명하는 이론(BCS이론)을 제창해 3명이 함께 1972년 ... ...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용하지 않고 항행할 수 있는 자립항법(自立航法) 시스템의 하나이며 장거리의
해상
비행에 알맞다파원(波源)과 관측자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운동하고 있을 때 관측자에게 관측되는 파원의 진동수가 변하는 현상 1842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J C 도플러가 이중성(二重性)의 빛에 관하여 별의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할 때에는 관측점 사이의 거리는 5~10km의 간격이어야 한다 일반적인 해양관측 외에
해상
에서 기상관측을 하는 해양관측선의 일종 정해진 지점에서 관측을 하는 동시에 필요할 때는 바다 위를 이동하면서 관측한다유체역학(流體力學)의 기초 방정식을 근거로 대기 운동 일반을 연구하는 기상학의 한 ... ...
태양열로 통화하는 휴대전화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노키아는 영상을 만들고 전력까지 생산하는 디스플레이를 내놨다. 가로세로 200픽셀의
해상
도를 지닌 이 흑백 디스플레이는 티타늄 이산화물 성분의 나노입자로 만들어져 화면을 띄우면서 동시에 태양열까지 흡수한다.뉴사이언티스트는 휴대전화 제조사들이 무게와 부피를 늘리지 않고 배터리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꼬마펭귄의 행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플라스틱으로 오염시키면서 죽거나 다치고 있다. 특히 지난 10여년간 6건 이상 발생한
해상
기름 유출사고의 피해는 심각하다. 2003년 필립섬 앞바다에서 선박의 기름이 유출돼 해안 12km가 오염되면서 꼬마펭귄 24마리가 기름을 뒤집어썼고 3마리가 죽었다. 또 2001년에는 360마리가 기름 범벅이 됐고 200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