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착
고착
안정
붙박이
불변
부착
붙바기
뉴스
"
고정
"(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있는 세포 손상 없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성공
연합뉴스
l
2020.06.29
구조적으로 손상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현재는 극저온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고정
후 안정화 작업을 거친 표본만 관찰할 수 있다. 연구팀은 0.2 나노미터 두께의 그래핀(흑연의 한 층에서 떼어낸 2차원 물질) 박막으로 세포를 보호, 세포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분자 단위로 관찰하는 데 ... ...
국내 코로나19 확산세, 5월부터 브레이크는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수가 실제로 감소하기 전에 가속 곡선에 먼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고정
단계로 평가됐다가 이태원 클럽 발 집단감염이 발생한 5월 이후로는 가속도 페달을 밟은 것으로 분석됐다. 신규 환자가 늘어나는 속도가 빨라진 것이다. 같은 기간 감속은 일어나지 않아 브레이크 페달을 ... ...
한국 영원히 변치 않는 1kg 질량 기준 만들었다…美·加와·어깨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키블저울은 전자기력으로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을 가늠해
고정
된 물리상수 값을 기준으로 측정 대상의 질량을 측정하는 장비다. 국제비교는 각국의 측정값을 비교하는 것으로 단위 분야별 국제비교가 실행중이다. 표준연 연구진이 이번에 참여한 국제비교는 단위 ... ...
구강보건의날…"치아는 평생 두번만 생성…재생안되니 관리중요"
연합뉴스
l
2020.06.09
닦는 게 좋다. 칫솔모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홈, 치아와 치아 사이에 살짝 끼우듯이
고정
한 후에 칫솔 머리를 짧게 진동을 주듯이 움직여서 닦는다. 짧은 진동을 적절히 활용하면 치아 표면의 마모를 줄이며 효과적으로 이를 닦을 수 있다. 칫솔질만으로는 치아가 깨끗하게 닦이지 않으므로 치실, ... ...
[프리미엄 리포트]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
2020.06.06
아령을 들어올리는 운동을 생각해 보자. 필자가 1kg짜리 아령을 손에 쥐고 팔꿈치를
고정
한 상태에서 아령을 90도 각도로 들어올리는 운동을 한다고 하자. 필자의 팔꿈치에서 손에 든 아령까지의 길이는 45cm정도다. 아령에는 항상 바닥을 향하는 중력이 작용하며, 손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팔이 ... ...
[영상+]땅굴 파고 자원 찾는 두더지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지하 내에서 방향을 360도로 자유롭게 바꾼다. 몰봇은 굴착을 담당하는 앞 몸체와 이동과
고정
역할을 하는 뒷 몸체로 구성됐는데 두 몸체 사이를 선형 구동기로 이어 허리가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했다. 이동부는 3개의 무한궤도를 삼각형 형태로 배치해 지하 내에서 몸 어디가 닿든 안정적으로 ... ...
더 강하면서 가공하기 편한 고엔트로피 합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한계가 있었다. 김형섭 교수 연구팀은 고엔트로피 합금이 균일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을 역이용했다. 미세조직이 균일하지 않은 ‘헤테로 구조’의 고엔트로피 합금이 더 단단하면서도 유연할 수 있음을 알아냈기 때문이다. 헤테로 구조란 합금 내부의 구조, 조직이나 결정입자 크기 및 형상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원자와 분자
2020.05.28
2018년 모든 단위를 자연표준으로 바꾸면서 이 관계도 바뀌게 된다. 즉, 1몰을 그냥 으로
고정
시켜 버렸다. 그러니까 이 숫자를 그냥 아보가드로수라고 정의하자는 것이다. 이 정의는 2018년에 채택되어 2019년 5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렇게 정의하면 탄소12의 1몰의 질량이 정확하게 12그램이 되지는 ... ...
여름되면 아이들 안전해질까…전문가들 "코로나19 확산 안꺾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환자의 수가 전체의 20% 이상으로 가파르게 늘었다. 반면 면역을 가진 사람의 수를
고정
하고 습도를 조절했을 때에는 예상되는 환자 비율이 최대 1~2%밖에 줄지 않았다. 베이커 연구원은 “더 따뜻하거나 더 습한 기후가 유행병의 초기 단계에서 바이러스를 전파를 늦추지 않는다”며 “기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2016년 11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캘빈회로의 효율을 훨씬 뛰어넘는 이산화탄소
고정
경로인 ‘CETCH 회로’를 개발해 소개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무려 9가지 종에서 17가지 효소의 유전자를 가져와 이를 발현시켜 이산화탄소에서 글리옥실레이트(glyoxylate)라는 탄소원자 두 개짜리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