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스페셜
"
층
"(으)로 총 51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보는 남북공동회담, 판문점 24시 타임라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관할하는 컨테이너 박스 모양의 회담장이다. 유엔 상징색을 본따 하늘색으로 칠해진 단
층
건물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도보로 넘어올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실 T2와 T3 사이의 모습이다. T는 '임시(temporary)'의 약자로 정전 협정 당시 임시로 지어진 데서 유래했다. - 뉴시스 제공 문 대통령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현상을 발견했다. 피부색이나 털색은 멜라닌이라는 색소에서 비롯한다. 표피의 기저
층
에 존재하는 멜라닌세포는 멜라닌을 합성해 멜라닌소체라는 과립에 담아 내보낸다. 표피세포나 털(피질)세포에 멜라닌소체가 들어가면 피부나 털이 색을 띤다. 그런데 생쥐의 귀 진피에 있는 면역세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따라 음극 흑연으로 이동한다. 한편 음극 주변에 있던 리튬이온은 음극에 끌려 흑연
층
사이로 들어가 자리를 잡는다. 이렇게 양극의 리튬이온과 전자가 음극으로 다 옮겨가면 충전이 끝난 것이다. 조재필 교수의 말에 따르면 흑연에 리튬이온과 전자가 채워지면서 놀라운 변화가 일어난다고 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흘러내리게 했다. 우유나 커피의 온도가 논문보다 좀 더 높아서인지 10분쯤 지나서야
층
이 분명히 보였다. 길고 좁은 유리잔에 우유를 넣고 에스프레소를 쓴다면 어렵지 않게 필자가 만든 것보다 훨씬 그럴듯한 레이어드 라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만든 레이어드라떼로 혼합하고 20분 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상승하고 있고 자살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즉 풍요로운 미국을 상징하던 백인 중년
층
의 퇴행은 일상생활이 무너진 결과라는 얘기다. 우리나라도 불길한 건 마찬가지다. 지난 11월 2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16년 건강검진통계연보에 따르면 담뱃값 대폭 인상으로 떨어졌던 성인 흡연율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다시 정밀하게 측정을 했고 그 결과 28만6000년 전이라는 새로운 결과를 얻었다. 이는 7번
층
부싯돌의 열발광연대측정 결과의 범위 안에 들어가는 값이다. 따라서 대략 30만 년 전이라고 볼 수 있고 따라서 호모 사피엔스의 공식역사가 기존의 20만 년 전에서 10만 년이나 더 길어진 셈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12%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2014년 캐나다 노던브리티시컬럼비아대에 지은 30미터 높이의 8
층
짜리 목재혁신ㆍ디자인센터를 짓는데 자재를 대체해 400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됐다. 뿐만 아니라 이 건물이 존재하는 한 붙잡혀있는 이산화탄소가 1100톤에 이른다(광합성으로 대기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연성물질(액체 상태의 고분자)을 두 판 사이에 두고 간격을 좁히며 분자크기의 작은
층
을 만드는 경우, 간격을 줄일수록 액체를 움직이는데 많은 힘이 듭니다. 이때 고분자의 종류와 크기에 따른 분자 간 반발력, 막의 두께에 따른 점성 등을 측정하는 연구를 했습니다. 2013년 초에 그래닉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요소는 미생물의 종류와 수, 다양성에 달렸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포스텍 생명공학동 4
층
연구실에서 만난 임신혁 IBS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 그룹리더(포스텍 융합생명공학부 교수)는 장내 미생물의 중요성을 소개하며, 미생물과 면역계의 관계를 규명해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연구단의 목표라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섞어 사용합니다. 그는 수심 30m-150m 사이 희미하게 빛이 드는 ‘트와일라잇 존(약광
층
)’에 서식하는 물고기들과 산호들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 SCIENCE / Sonia Rowely 제공 알록달록 색이 예쁜 산호초와 물고기는 특히 트와일라잇 존에 많이 살고 있습니다. 그는 이 구역에서 지난 30년 동안 모두 100여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