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도
전
! 코드마스터] 인공지능이 인간을 위협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이 알고리즘이나 인공지능이 학습할 때 쓰는 데이터는 사람이 관리하고 있지요. 그래서
전
문가들은 강한 인공지능이 인간을 지배하는 미래를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보고 있답니다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
쟁, 거대 로봇 삼국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로봇이라며 공개한 것이다.한국미래기술이 조용히 개발 중이었던 이 로봇은 순식간에
전
세계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메소드-2는 구라타와 마크-2, 3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2족 보행을 실현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더 완성도가 높다. 실제 영화에서 나온 거대 탑승형 로봇에 가장 가까운 모습이다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가격도 세다.”김 회장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돌김에 대해 먼저 운을 뗐다. 겨울동안
전
체 김 채취 횟수가 10~12번이라면 돌김은 늦가을 바다에서 최대 2번 정도 뜨면 수확시기가 끝난다. 딸기가 5~6월에 반짝 나고 끝나는 것과 비슷하다. 돌김종자는 이제 남해와 서해의 어업인들 대부분이 사용하고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현미경에 스마트폰을 연결해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해 공급했다”며 “휴대
전
화로 찍은 사진을 보내면 수시로 진단소견을 교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6년간 70명의 소아암 환자를 진단했고 2명의 어린이가 완치 판정을 받았다.신 부총장은 “스스로 고기를 잡을 수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석학들도 안식년을 이곳에서 보내기 위해 경쟁할 정도입니다. 제 생각에는 일본의 옛
전
통이 살아 숨쉬는 교토의 매력도 한몫 하는 것 같아요. CiRA는 교토 시내인 산조, 시조 지역과 도보로 15~20분 거리입니다. 또 걸어서 5분 거리엔 교토의 젖줄인 카모가와 강이 있어서, 봄이 되면 강가에서 점심 ... ...
[수학뉴스] 사랑이 피어나는 미분과 적분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미분과 적분은 서로 관련 없이 정의되고 발
전
했어요. ‘미적분학의 기본정리’가 나오기
전
까지는 말이죠.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는 미분과 적분이 서로 역연산 관계에 있다는 거예요. 마치 더하기와 빼기처럼 같은 대상을 두고 미분했다가 적분하면 원래대로 돌아오지요. 수하가 초콜릿을 녹였다 ... ...
[가상 인터뷰] 아! 이! 우! 에! 오! 인류의 발성 조상은 개코원숭이?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능력)의 기원도 다시 생각하게 됐어요. 우리 바분과 인류의 공통 조상이 살았던 2500만 년
전
부터 그 능력이 진화한 것이 아닐까요? 그 옛날에 노래방이 있었다면 우리 조상님도 꽤나 드나들었을 것 같군요. 하하 ... ...
집중하는 시간이 행복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비선형 쌍곡 방정식을 이해하는 연구를 하셨는데, 교수님의 연구가 아름다운 이유는 그
전
까지는 너무 어려웠던 문제가 그 연구 성과로 인해 쉬운 문제로 바뀌었기 때문이에요.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몰랐던 문제에 접근 방법을 제시한 것이기도 했고요. 지금까지는 제가 풀고 싶은 재미있는 문제를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중간언어를 거쳐 번역하고 싶었다. 그래서 숫자를 활용해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사
전
을 만드는 방법을 처음으로 제시했다.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1970년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 요릭 윌크스는 중간언어를 활용한 자동번역 시스템을 최초로 만들었다. 인터링구아가 활약한다면 번역은 훨씬 쉬워질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잰 비그 교수는 “앞으로 인간의 수명을 더 늘리기 위해서는 수명과 관련된 유
전
자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어요.반면 150세까지 살 수 있다는 의견도 있어요. 미국 텍사스대학교 노화연구재단 스티븐 오스태드 교수는 2150년쯤 인간의 최고 수명은 150세가 될 것이라고 ... ...
이전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