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100일 동안이나 꽃 피는 무궁화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개화에 관여하는 유
전
자는 거의 그대로 남았어요. 그 결과 다른 식물보다 개화 유
전
자가 더 많지요.연구팀은 “꽃을 오래 피워서 더 많은 자손을 퍼트리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내복 디자이너 ‘ 이브니 포그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걸어가야 하는데 그 순서가 마구 섞여 버렸어요. 내복을 잘 보면 순서가 보이는데….
전
지금 너무너무 당황해서 도통 순서를 모르겠어요, 썰렁홈즈. 도와 주세용, 네~?” 썰렁홈즈, 내복 모델 되다?!무사히 내복 패션쇼가 준비되었다! 하지만 너무 피곤했던 썰렁홈즈는 잠이 드는데…. 번쩍! 하는 ... ...
[포커스 뉴스] 원로의사 vs 닥터왓슨 환자들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안정책에도 각별히 신경 써야할 것이다.식품의약품안
전
처(식약처)는 지난해 12월 29일 의료용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적용한 의료기기에 대한 허가 심사 가이드라인 초안을 발표했다. 식약처는 초안에서 문헌검색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는 의료기기에 해당하지 ... ...
[수학뉴스] 다이빙 금메달 따고 싶다면 지원하세요!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다이빙 대회에서 이 동작을 보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2016년 12월 19일 출판
전
인 논문을 모아두는 온라인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실렸습니다 ... ...
[폴리매스 프로젝터] 1차
전
최소한의 삼각형과 마름모로 덮은 육각형!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가질지 알 수 없어서 마음을 졸였습니다.그리고 결과는…,
전
석 매진! 야구 경기라면
전
석 매진에 비유할 만큼 많은 관심이 폴리매스 프로젝트에 쏟아졌습니다. 첫 이틀 동안에만 100개를 훌쩍 넘는 댓글이 달렸어요. 과연 어떤 문제가 나왔고, 어떤 선수가 활약했을까요? 생생한 현장 소식을 지금부터 ... ...
수학을 사랑한 뇌요미 박경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쪽으로 굳어질까봐 조심스러워요.긴 인터뷰 끝에 올해의 꿈이 뭔지 묻자 ‘올해가 가기
전
에 신곡으로 채운 미니앨범을 한 장 더 내고 싶어요’라는 답이 돌아왔다. ‘노래가 너무 좋다’는 말이 가장 달콤하다는 박경. 음악과 수학을 모두 사랑하는 뇌요미의 꿈이 이뤄지길 수학동아가 응원한다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인플루엔자Part 1. 변종 플루 HXNX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
전
략Part 3.
전
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말과 친구가 되는 롤플레이 테마파크 위니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어두워지고, 바다 거북이와 고래같이 몸 색이 어두운 바다 생물들이 보였어요. 빛이
전
혀 들지 않는 깜깜한 바다 밑에서는 기괴하게 생긴 심해어만 가끔씩 나타났지요. 화면이 정말 생생해서 진짜 바닷속에 있는 느낌이었어요.체험을 모두 마친 김대은 기자는 “잠수함처럼 꾸며진 실내에서 화려한 ... ...
[과학뉴스] 개코원숭이도 모음을 말할 줄 안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인간의 음운 체계 사이에 진화적 연결고리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며 “약 2500만 년
전
인간과 원숭이의 마지막 공통 조상의 발성 기술에서 언어가 진화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플로스원’ 1월 11일자에 발표됐다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년은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노종합기술원은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
국의 기업들이 센서를 연구할 수 있는 반도체 클린시설과 MEMS 장비를 갖추고 있다. 나노종합기술원은 이렇게 개발한 센서를 시제품으로 양산할 수 있는 시양산 시설 설립을 최근 정부에 제안했다. 김 부장은 ... ...
이전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