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생명의 으뜸원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별에서는 수소가 헬륨으로 바뀌는 핵융합 과정에서 일부의 질량이 에너지로 바뀌면서
빛
과 열이 나온다. 별들은 냉혹한 우주 공간에서 여기 저기 타오르는 모닥불인 것이다. 별들 중 하나인 태양으로부터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동물은 다른 동물이나 식물을 먹어서 에너지를 ... ...
겨울 대삼각형과 오리온의 사냥개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이상 떨어져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별들이지만, 태양보다 10만배 이상이나 밝은
빛
을 쏟아내는 우리은하 속에서 가장 밝고 큰 별들 가운데 하나다.작은개자리Canis Minor●중심위치:적경 7시 40분, 적위 +6도 ●자정남중:1월 24일 ●보이는 별 수:13개작은개자리는 1등성 프로키온과 3등급의 베타별 ... ...
밤하늘의 수채화 성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우주드라마가 펼쳐지는 곳이다. 오리온대성운은 트라페지움 4중성의 뜨거운 별
빛
으로 인해 오리온자리에 걸쳐 있는 커다란 암흑 성운의 일부분이 드러나 보이는 발광성운인 것이다 ... ...
20세기 물리학 혁명의 출발점 X선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있었던 것이다. 뭔가 종이를 투과하는
빛
이 우라늄 속에서 나왔다는 증거다. 사람들은 그
빛
을 베크렐선이라고 불렀다.베크렐은 새로운 방사선의 발견으로 1903년 퀴리 부부와 더불어 노벨물리학상을 탔다. 퀴리 부부는 1898년 우라늄뿐 아니라 자신들이 발견한 폴로늄과 라듐에서도 방사선이 ... ...
② 잠 때문에 괴로운 사람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맞춰 행동할 것을 권한다. 잘 안될 경우 병원에서는 햇
빛
과 비슷한 강도의 강력한
빛
을 쏘여 생체시계가 아침으로 맞춰지도록 조치하기도 한다.가위에 눌리는 이유 - 렘수면과 유사한 특성"간밤에 가위에 눌려 잠을 설쳤다"고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뭔가 알 수 없는(또는 달걀귀신 처럼 형체가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달의 계곡으로 산책을 나간다. 어느 지점에 이르자 아버지는 하늘을 가리킨다. 찬란히
빛
나는 지구. 소년은 달에서 태어나 자랐기 때 문에 아직 한번도 지구에 가보지 못했다. 그러나 소년은 앞으로도 오랫동안 지구에 발을 디디지 못할 것이다. 지구는 핵전쟁으로 폐허가 돼 아무도 살 수 없는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한다. 만약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서 불꽃의 온도가 낮아지면 파장이 짧은
빛
이 조금밖에 나오지 않게 되어서 불꽃이 노란색으로 보이게 된다.그런데 가스레인지 불꽃이 파란 것은 왜일까. 이는 연료인 탄화수소를 태울 때에 두 개의 탄소 원가가 결합된 ${C}_{2}$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1회용 플라스틱 그릇과 같은 존재가 아니라 모든 잠재적 조건들이 어우러져 찬란한
빛
을 발하며 그 존재 가치를 드높이는 고려청자와 같은 것이다.소수 위한 교육 아니다지금 전국 15곳의 과학고에서는 비교내신제 폐지로 인한 불리한 내신 성적 때문에 30% 가 넘는 2학년 학생이 자퇴해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멜라토닌 의 분비는 증가하기 시작한다.생체 시계는 오랜 시간에 걸쳐 24시간 단위의
빛
과 어둠 주기에 근접하도록 발달됐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사람의 수면-각성 주기는 정확히 24시간이 아니라 25시간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만일 태양광선이나 알람시계가 없다면 사람은 매일 1시간 늦게 깨나고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인간이 계산하고 실험한 것 중 가장 정확한 결과이다.양탄자 아래 숨기기결국 전자와
빛
의 상호작용하는 장을 기술할 때 발생하는 무한대 문제는 전하와 질량의 재규격화를 통해 해결됐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성립한 양자전기역학으로 소립자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대한 거의 완전한 기술이 ... ...
이전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