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한다. 만약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서 불꽃의 온도가 낮아지면 파장이 짧은
빛
이 조금밖에 나오지 않게 되어서 불꽃이 노란색으로 보이게 된다.그런데 가스레인지 불꽃이 파란 것은 왜일까. 이는 연료인 탄화수소를 태울 때에 두 개의 탄소 원가가 결합된 ${C}_{2}$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1회용 플라스틱 그릇과 같은 존재가 아니라 모든 잠재적 조건들이 어우러져 찬란한
빛
을 발하며 그 존재 가치를 드높이는 고려청자와 같은 것이다.소수 위한 교육 아니다지금 전국 15곳의 과학고에서는 비교내신제 폐지로 인한 불리한 내신 성적 때문에 30% 가 넘는 2학년 학생이 자퇴해 ... ...
외계행성 찾는 새로운 방법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천문학자들은 행성들이 궤도를 돌 때 생기는 중력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주변에 행성이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확인된 ... 온 밝은 별
빛
을 다른 하나에 의해 사라지게 하고, 별에 가까운 희미한 물체로부터 온
빛
은 증폭할 수 있도록 거울을 조합하는 방법이다 ... ...
가장 약하지만 가장 위대한 힘, 만유인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그는 뉴턴의 중력은 불필요한 개념이라고 말하는 동시에 수성의 근일점 변화를 설명하고
빛
의 휨을 정확히 예측해낸다. 아인슈타인에 따르면 물체가 운동하는 것은 그 물체가 위치한 공간의 특성에 따라 운동하는 것이지, 힘에 의해 경로가 바뀌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태양계를 예로 들면 뉴턴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n형 반도체를 조합해 만든다.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 부분에
빛
이 들어오면
빛
에너지에 의해 반도체 내부에서 음의 전하(전자)와 양의 전하(정공)가 발생한다. 발생된 전자와 정공은 내부의 전압에 의해 각각 n형과 p형 반도체 측으로 이동해 양쪽의 전극에 모아진다. 이 두 전극을 도선으로 ... ...
1. 에너지문제 해결하는 무한동력, 영구기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용한 전자계산기나 전자시계는
빛
만 있으면 어느 장소에서나 작동한다. 굳이 햇
빛
이 아닌 조명등 아래에서도 문제없다. 그러나 이것은 무한동력이 아니다. 태양전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태양전지가 토해내는 에너지의 수십-수백배 이상의 에너지가 이미 소모되기 때문이다.무한동력을 연구하는 ... ...
밤하늘의 유혹, 숨겨진 짝별 찾기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별과 5.1등급의 별이 34초 떨어져 있다. 투명한 토파즈같은 노란색을 띤 주성과 사파이어
빛
연푸른 반성의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20 배 정도의 쌍안경에서는 떨어질듯 말듯 절묘하게 분리된 모습이 설레임을 가득 안겨준다.길잡이 별 북극성북극성은 생각보다 그리 밝지 않은 2등성 별이다. 1780년에 ... ...
3.
빛
보다 빨리 달리는 우주선 초광속비행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앞쪽 또는 뒤쪽 시공간을 확장하거나 수축한다는 뜻이다. 물론 이 경우 우주선은 결코
빛
보다 빨리 가는 것이 아니다. 우주선은 공간의 파도를 따라 밀려나가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이론은 간단한 것 같지만 이를 현실적으로 실현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생긴다. 이런 초광속 비행을 가능하게 ... ...
지구에 사는 세균은 몇마리?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그 수는 무려 5×${10}^{30}$마리. 이들을 1센트짜리 동전이라 가정하고 일렬로 쌓을 경우
빛
의 속도로 끝까지 가는데 1조년이 걸리는 값이다.일반적으로 ‘세균’ 하면 사람이나 가축의 몸에 침입해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해로운 생명체를 떠올린다. 하지만 이런 종류의 수는 전체의 1%에 못 미친다 ... ...
18일 새벽 사자자리 별똥 축제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세어보는 것도 유성관측의 재미를 더해준다. 또 각각의 유성은 저마다 다른 색깔의
빛
을 내므로 이들을 비교해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도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 ...
이전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