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것이 좋다. 그렇다고 처음부터 너무 욕심을 부릴 필요는 없다. 주어진 테마에 대해서
조금
씩 깊이 있게 다루면 된다.② 제작보다 관리가 중요처음 만들 때 못지 않게 관리가 중요하다. 멋있고 신선한 디자인도 시간이 지나면 식상해지기 때문이다. 조그만 정보라도 새로운 것을 자주 제공하는 것이 ... ...
인간과의 전쟁 세계인구 60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0년, 천연가스는 60년이면 바닥이 난다. 다만 석탄이 2백여년 동안 쓸 만큼 남아 있다는 게
조금
은 위안이 된다.이처럼 21세기에 대해 갖가지 비관적인 전망들이 난무하고 있지만,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없는 것은 아니다. 말하자면 아직도 컵 속에는 물이 절반이나 남아 있다는 것. 어쩌면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남중해 있을 때는 정삼각형 모습이지만 동쪽에서 떠오를 때와 서쪽에서 가라앉을 때는
조금
찌그러져 보인다. 각 별의 실제 각거리는 프로키온 -베텔규스는 25°58′, 프로키온-시리우스는 25°42′, 시리우스 -베텔규스는 27°05′이다.쌍둥이자리와 마차부자리시리우스와 베텔규스를 잇는 선을 북서로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에 들어가 6년 동안 인공위성 개발에 참여한 바 있었다. 그러기에 인공위성 개발에 관해
조금
은 안다고 할까. 그런데 1989년 초 체신부가 방송통신위성(훗날 무궁화위성이 됨)을 쏘아올린다는 소식이 들리자 최 박사는 걱정이 앞섰다. 외국에서 인공위성을 구입해 쓰면 쌓이는 노하우가 없고, 우리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제일 큰 성단도 찾을 수 있다.다시 델타별로 돌아와 다음은 은하수를 따라 동남쪽으로
조금
만 내려가 보자. 델타와 엡실론별을 밑변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육안으로도 뿌옇게 보이는 ‘이중성단’을 찾을 수 있다. 이 성단은 아마 쌍안경으로 볼 수 있는 전 하늘에서 가장 멋진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들여다 보면 약육강식의 피 터지는 싸움이 매순간 벌어지고 있다. 나이 먹은 고기가 힘이
조금
빠지는 날에는 귀신도 모르게 젊고 건강한 놈들이 달려들어 잡아먹어버린다. 그래서 ‘제 명대로 다 살다가 죽는 물고기는 없다’는 말이 나온 것이다.코끼리의 전설때때로 생물이 죽는 모습은 인간에게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있다.유실수 줄기의 일부 껍질을 벗겨 내거나, 철사로 줄기를 감아두기도 하고, 뿌리를
조금
잘라주거나, 줄기에 칼자국을 내거나 했던 조상들의 방법이 모두 같은 원리에서 출발한 것이다. 나뭇가지 끝을 아래로 휘어지게 잡아맨 것도 휘어진 부분에서 조직을 긴축시켜 수액의 이동을 어렵게 해 ... ...
인터넷PC 꼼꼼 분석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이유였다. 하지만 인터넷PC 업체들이 선정된 이후 빅4들도 인터넷PC와 유사하거나 이보다
조금
비싼 제품들을 발표해 빅4들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인터넷PC 신청업체 중 최종사업자로 선정된 업체는 12곳. 대기업들이 참여하지 않은 탓에 고객 입장에서 보면 업체들의 이름이 낯설기만 하다. ... ...
유전자 조작으로 빨리 늙는 쥐 생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부분에 붙어있는 텔로미어라는 짧은 단백질 사슬이다. 텔로미어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조금
씩 닳아 줄어들다가 어느 길이 이하로 줄어들면 세포는 분열을 멈추고 노화가 시작된다.그렇다면 암세포는 왜 늙지 않고 끝없이 분열할까. 학자들은 암세포가 늙지 않는 것은 세포분열로 줄어든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않다. 말하자면 한 지진에 대해서도 규모를 계산하는 각 나라의 기관이나 연구소마다
조금
씩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얘기다.지진을 관측하는 지진계의 원리는 지표면에 고정된 축에 매달린 추의 관성을 이용해 지표면의 운동을 기록한다. 현대적인 지진계도 많은 부분이 전기장치로 대체되긴 했지만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