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뉴스
"
안
"(으)로 총 10,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홍채 보면 건강을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보고 몸 상태를 짐작하는 위험한 일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임산부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것들'이나 '정신질환 자가진단 방법', '치매 위험 여부 자가진단 방법' 등 유튜브에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들은 주로 비전문가가 개인적인 채널을 통해 주장하고 있었다. 하지만 홍채진단법은 이를 ... ...
세계 최대 갈탄 소비국 독일도 결심했다 "2038년 갈탄 화력발전 OUT"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걷어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결정은 녹색당부터 우파인 독일대
안
정당(AfD)까지 정치적 입장이 다양해져서 메르켈 총리가 속한 기독민주당 등 기존 정당을 압박하고 있는 독일 정치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 AfD는 독일 동부 탄광 지대에 영향력이 강한 정당이다. 이런 ... ...
재발·호전 거듭하는 '다발골수종'…4년새 환자 39%↑
연합뉴스
l
2020.01.17
선택할 때는 ▲ 이전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6개월 이상 지나 재발하거나, 환자 상태가
안
정적일 때는 동일한 치료제로 재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다) ▲ 다발골수종의 생물학적 특성 ▲ 신부전과 당뇨병 등 동반 질환이나 신경병증 등 부작용 유무 ▲ 환자의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
일본·태국서도 '중국 폐렴' 환자 발생…질본, 대응 강화
연합뉴스
l
2020.01.17
있다면 마스크를 착용하고 의료기관에 방문해야 한다"며 "중국 우한시를 방문하고 14일
안
에 발열, 기침 등이 있다면 꼭 의료진에게 해외 여행 사실을 알려야 한다"고 당부했다. ... ...
빛 색깔 바꾸는 '제3의 방법'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가능성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비선형 광소자와 레이저는 작은 공간
안
에 빛을 가둔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원리로 동작한다”며 “비선형 물질 대신 빛을 발생시키는 물질로 구성된 나노실린더 구조를 제작하면 가장 작은 유전체 나노레이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영상+]발가락 이용해 날개 쥐락펴락… ‘비둘기 비행’의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칭적인 관절과 발가락의 움직임이 날카로운 각도로 비행할 때도
안
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준 것이다. 렌틴크 교수는 “비둘기가 주로 발가락을 사용해 비행 방향을 잡는다는 첫 번째 증거”라며 “이번 연구는 혁신적인 항공기를 개발하는 데 영감을 줄 수 있다”고 ... ...
종이 같은 디스플레이 실현 '열쇠' 쥔 휘는 절연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트랜지스터를 만들기가 까다로워 아직까지 실현되지 않고 있다. 특히 트랜지스터
안
에서 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절연체’가 휘어지지 않았는데, 최근 국내 연구팀이 유연하면서 전류 차단 효과도 탁월한 새로운 절연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실현에 한 걸음 다가설 ... ...
ASF 걸린 멧돼지 74마리째 발견…굶주린 멧돼지 더 멀리 이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원화 국립환경과학원 생물
안
전연구팀장은 “2차 울타리
안
은 야생 멧돼지의 ASF 감염 위험성이 큰 지역”이라며 “감염 폐사체 발견이 더 늘 수 있다”고 말했다. ... ...
5G에서 AI로 무게추 옮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규모로 마련한다는 것”이라며 “AI 인재 양성의 경우 인공지능 대학원 프로그램 확대 방
안
을 조만간 발표하고 올해 500명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최기영 장관 '혁신'만 74차례 언급했지만…R&D특별법 처리
안
갯속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 이상 증가한 수다. 처리될 법
안
수는 역대급으로 늘었지만 처리율은 낮은 상황으로, 법
안
의 통과 가능성은 더욱 낮아진 상태다. 과기정통부는 아직 특별법 통과에 대한 마지막 희망을 버리지는 않고는 있다.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최 2 ... ...
이전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