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신성 폭발 메커니즘 밝힌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위로 뜨게 된다. 그것이 올라감에 띠라 좀더 차가운 기체는 핵쪽으로 가라앉아 일정한
자리
를 차지하게 되고, 차례로 뜨거워지는 것이다. 이러한 대류운동을 통해 핵의 열에너지는 역학적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전환된다.헤런트박사는 이 과정을 냄비속에 두꺼운 재료를 넣어 익히는 것에 비유했다. ... ...
사진으로 떠나는 별
자리
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멋지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카시오페이아
자리
위쪽으로 페르세우스
자리
이중성단이 보인다.④ 월령 10일의 달Pentax Me super, Vixen ED 130mm(f/9), EM-200 자동 가이드, Sensia 100좌측의 경계선 아래쪽에 가장 밝게 빛나는 분화구가 티코이고, 중앙의 경계선 부근에 케플러와 코페르니 ...
성전환수술 9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쉽게 마음이 변한다면 그를 성전환증 환자로 분류할 수 없다. 사회생활도 수술 후 제
자리
를 잡아간다. 오랫동안 육체의 성과 반대되는 행동과 활동을 해왔기 때문에 수술 후 만족스럽게 사회에 적응하게 된다.현재의 의학기술로 재성전환수술은 거의 불가능하다. 설령 실행한다 할지라도 외양이나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드레이크 박사는 의미있는 지구인의 메시지를 외계로 날려보냈다. 목표는 헤르쿨레스
자리
구상성단M13로 여기에는 태어난지 1백억년 된 나이든 별들이 밀집돼 있다. 0과 1로 이주어진 이 디지털신호(23×73=1679개)를 해독하면 지구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만들어진다. 즉 DNA 이중나선구조와 인간의 ...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UI가이드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컴퓨터 사용환경의 주도권을 잡으려는 치열한 운영체제 전쟁이 불붙었다. 그러나 이 전쟁에 참여한 각 운영체제는 '그림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이미 대통일을 이루어 있다. 더이상 시꺼먼 모니터 화면에 프롬프트만 껌뻑이는 인터페이스는 설
자리
가 없어진 것이다.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고향에 돌아간 밀레바는 그곳에서 딸을 낳았다.아인슈타인은 아버지 헤르만의 임종
자리
에서 마침내 결혼 허락을 받아냈다. 1903년 베른시칭 공회당에서 조촐한 결혼식을 치르고 임시직이 아닌 특허청 공무원이 되면서 생활의 안정을 찾고 연구에 몰두한 결과 1905년 그는 특수상대성이론을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태양 닮은 주변의 별들'참조) 이러한 사실만 보아도 태양계가 유일한 생명탄생의 보금
자리
라는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아무튼 태양이 위치한 우리은하의 팔에 해당되는 부분은 아직도 가스와 먼지로 가득 찬 부분이 있어 지금도 별이 탄생하는 곳이 있다. 물론 노쇠하여 사라지는 별들도 ... ...
귀화 식물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최근에 많이 나타난 '서양금혼초' 역시 목초의 씨에 섞여 들어와서 목장과 밭의 잡초로
자리
잡은 것이다.이밖에도 여러 귀화센터가 있을 것이다. 각종 외래식물이 끊임없이 귀화를 시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풍토와 그 식물 자체가 갖는 유전적 소질과 자연환경이 조화를 이루면서 서서히 ... ...
집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對)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 한국인의 집에는 온돌과 마주하는 두가지 큰 바닥구조가
자리
잡게 되고, 개방적이며 폐쇄적인 이중적 공간성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한 공간을 여러 용도로 활용집의 온돌방과 대청은 우리생활의 기거양식인 좌식생활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어 많은 융통성과 ... ...
남자는 뇌가 크고 여자는 뉴런이 많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뇌피질은 6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뇌의 바깥쪽 껍질로 이 신경세포들은 이들중 2개의 층에
자리
하고 있다. 이 영역들은 언어를 이해하고 말의 음률과 억양을 인식하는데 쓰이는 부위. 실험대상이 남자5명, 여자 4명에 불과해 표본의 숫자가 적기는 하지만 "결과는 매우 명백하다"고 위텔슨 박사는 ... ...
이전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