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4월15일 부분월식, 대풍년 예고과학동아 l1995년 04호
- 것으로 밝혀졌다. 그는 이 유성우의 기록을 BC 687년 3월16일까지 추적할 수 있었다. 물뱀자리 유성우는 극대활동이 아주 짧게 나타나므로 그만큼 관측하는 묘미도 클 것이다 ... ...
- 2 '과학자 우대' 옛말, 행정눈치보는 샐러리맨 전락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자리를 옮기겠다는 생각을 갖게 된 데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정부의 연구소 정책, 이에 따라 연구 활동보다는 연구 외적인 일에 골머리를 앓게 하는 연구소 활동, 턱없이 적기만 한 연구비, 대학이나 기업 연구소에서 일하는 학교 동기와 ... ...
- 2. 새우주 복병-자기폭풍 통신교란 위험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아름다운 오로라를 만드는 우주플라스마는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교란시키는 등 우주환경의 새로운 복병으로 부각되고 있다. 흔히들 우주의 99% 이상이 플라스마 상태에 있다고 ... 우주환경 관측 장비가 고려되는 등 우주 플라스마는 점차 우리에게 친숙한 분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 ...
- 대양천문대 개관 기념 별밤 축제 개최과학동아 l1995년 03호
- 함께 8인치 반사망원경을 통해 상현달의 모습과 화성 목성 토성 등 행성, 쌍둥이자리 사자자리 등의 1등성들을 관측할 예정이다.대양천문대의 30인치 망원경은 경희대 수원캠퍼스에 설치된 망원경과 더불어 국내 최대. 대양천문대측은 "30인치망원경은 연구용으로, 8인치 10대는 주로 교육용으로 ... ...
- 별자리 테마여행-사자자리과학동아 l1995년 03호
- ① 화성과 사자의 등장 1994.12.3 강원도 춘천군 신북면 Pentax ME super 50㎜(f2) 필름 provia 400 고정 촬영 10분② 화성을 안고 산위를 달리는 사자 1995.1.6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 Pentax ME super 50㎜(f2) 필름 provia 100 고정 촬영 20분③ 바위 위를 오르는 사자 1995.1.7 강원도 명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과학동아 l1995년 03호
- 밤하늘이라면 쌍안경이나 저배율의 작은 망원경으로도 충분히 찾을 수 있다.② 큰곰자리의 산개성단(M 41) 1994.12.3 강원도 춘천군 신북면 vixen 200㎜(f4), Pentax ME, super, 필름 provia 400 EM 200 반자동 가이드 15분시리우스 남쪽에 있는 매우 밝은 산개성단으로 25개 정도의 밝은 별을 가지고 있다. ...
- "자연과 인간 함께 사는 방법을 배웠다"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사람끼리의 모임은 없습니까? 탐조회 식물연구회 등을 만들어 전국의 교사들이 한 자리에 모이면 좋을 결실을 얻지 않을까요. 어느 분야에 관심이 있어 무엇을 자세히 알려면 자료가 없습니다. 도서관에 가보면 일본책뿐입니다. 춘천에서는 몇몇 학생이 조류도감을 잔뜩 가지고 캠프 생활을 하며 ... ...
- 일본 최대 PC통신 서비스─최신정보 가득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자리를 잡고 있는 셈이다.포럼 목록을 보면 과연 니프티서브가 일본 문화의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직종, 어떤 취미를 갖고 있는 사람이든 간에 니프티서브의 포럼 가운데서 틀림없이 자신에게 어울리는 포럼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니프티서브의 포럼은 ... ...
- 게 두눈 사이의 뿌연 조각 구름, 프레세페과학동아 l1995년 03호
- 부근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관측할 때 지평 고도가 매우 낮다. 그러나 궁수자리 중심에는 M20과 같은 밝은 성운과 성단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천체들 사이를 지나갈 혜성의 접근이 사뭇 기대된다 ... ...
- 허블 망원경 최신 우주 통신과학동아 l1995년 03호
- 토성의 폭풍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HTS)이 작년 12월에 촬영한 토성이다. 관측에 참여한 비브(R. Beebe) 등은 실제 색상을 재현하기 위해서 세가지 ... 것이며 Hα, 6300Å, 그리고 6584Å 필터를 이용한 합성사진이다. 참고로 NGC6543은 주극성인 용자리에 있다(사진/J. P. Harrington과 K. J. Borkow ...
이전4554564574584594604614624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