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304건 검색되었습니다.
농작물 품질향상 가능… 식물 종자 어떻게 싹트는지 알아냈다
2015.09.23
호르몬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했다. 이번 연구로 배젖에
위치
한 두 가지 수송체와 배아에
위치
한 두 수송체의 상호작용을 찾으며 식물 종자발아 기전을 모두 알게 된 셈이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휴면 상태를 더 잘 유지하는 돌연변이 종자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각종 종자 품종 ... ...
[Health&Beauty]X선으로 치료 ‘인터벤션 시술’… “수술의 효과적 대안”
동아일보
l
2015.09.23
영상진단장비를 통해 카테터(2mm 내외의 의료용 튜브)를 혈관에 삽입한다. 병변 근처에
위치
시킨 뒤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를 주입해 병변을 자세히 관찰한다. X선을 이용해 관찰하면서 시술을 진행하는 것. 이렇게 X선을 투시하면서 치료를 하기 때문에 중재 또는 개입이라는 뜻을 가진 ... ...
드론이 테니스를 칠 수 있는 비결은?
2015.09.22
공의 순간 속도를 알 수 있죠. 이것으로 드론은 자신이 어느 순간, 어느 속도로 어느
위치
에 가야 공을 받아칠 수 있을지 계산합니다. ● 표적만 정해주면 추적한다 드론이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다닐 수도 있습니다. 이를 ‘트래킹’이라고 합니다. 테니스를 칠 때와 달리, 물체와 부딪치지 ... ...
지진 발생 한달 전 지진 알리는 ‘예측가스’ 발견
2015.09.15
“지진이 일어날 만한 장소에 인공동굴을 만들어 관측 데이터를 축적하면 지진발생의
위치
나 강도까지 예측할 수 있는 예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13일 자에 게재됐다. 관측기간 동안 측정된 라돈과 토론의 농도 ... ...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입어야 한다. 지난해 NASA는 새로운 우주복 ‘Z-2’를 발표했다. Z-2에는 동료끼리 쉽게
위치
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가슴과 옆구리 등에 발광 소재를 붙였다. 또 두껍고 딱딱한 기존 우주복과 달리 첨단 복합소재를 사용해 튼튼하면서도 유연하게 만들어 움직임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Z-2도 ... ...
하루종일 안개낀 듯 뿌연 시야, 老眼이 아니라 백내장입니다
동아일보
l
2015.09.09
위한 절대적인 수술 시기는 없다. 김병엽 건양대 의대 김안과병원 교수는 “혼탁이 생긴
위치
나 정도에 따라서 수술 시기도 환자마다 다르다”면서 “하지만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끼면 수술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김 교수는 “백내장 외에 망막 이상이나 시신경 이상, 녹내장이 ... ...
태양 따라 고개 돌리는 ‘해바라기’ 태양전지
2015.09.09
해의 일상을 따라 태양전지가 해바라기처럼 고개를 돌릴 수 있게 된 것이다. 해의
위치
에 따라 방향을 트는 태양전지는 고정된 태양전지보다 태양빛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이번에 개발된 태양전지는 고정형보다 태양빛을 36% 정도 더 받을 수 있었다. 기존에도 모터를 달아 방향을 ... ...
이란, 핵물질 저장하던 시설에서 암흑에너지 연구
2015.09.06
3540억 원)의 자금을 투자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지난해 이란의 수도인 테헤란에
위치
한 ILSF 사무실에 방문했던 데이빗 애트우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는 “신규 입자가속기가 이란의 과학기술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평가했다. 우주과학 분야에서도 ... ...
일기예보는 얼마나 더 정확해질까?
2015.09.06
0%를 공급하던 3개의 강에는 댐이 건설돼 수력발전에 쓰이고 있다. 호수 주변에
위치
한 약 4만개의 불법 우물도 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 ‘사이언스’ 국제뉴스 편집장인 리처드 스톤은 이란을 직접 방문해 취재한 경험을 토대로 이번 칼럼을 작성했다. 그는 우르미에 호수의 환경적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예에서 보듯 p53 유전자를 포함한 염색체 조각이 떨어져나갈 수 있을뿐더러 다양한
위치
에서 염기의 돌연변이가 일어나 기능을 상실하거나 엉뚱한 작용을 하는 변형 p53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실제로 모든 암 가운데 절반 정도는 p53이 고장난 상태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정상적인 p53 단백질도 ... ...
이전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