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음은 벌써 시베리아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냉정하게 자기를 돌아보고 자기가 원하는 이상형에 현실의 자기가 부합되는지 확인해
본
다음에 과를 선택해야 한다는 게 후배들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말이다. 순간의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다는 말이 아직 실감나지 않겠지만 학과의 선택이야말로 자기의 인생을 바꿔 놓을 수 있는 커다란 열쇠가 ... ...
담수어표
본
50만점 기증한 생물학의 큰 스승 최기철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지금까지 모아둔 자료를 잘만 활용하면 생물의 '친화도에 관한원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예요."75년까지 서울대 생물교육과에서 동물생리학 강의를 하다가 정년을 맞았으니 현직 ... 추종해 왔다고 말하는 최박사는 지금도 지치고 힘들 때면 율곡이 즐겨 찾던 임진강을 돌아
본
다고 한다 ... ...
애매함을 수용하는 교육환경이 필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라인(line)의 성격을 갖는 부(部)로 격상되어야 할 것이다.■전문자문위원회 설치교육은
본
래 문교부의 소관이나 현재 과학영재교육은 상당 부분이 과기처 지원과 관할하에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과학영재교육을 정상화시키고, 이들의 창의성을 극대화해 국가 과학기술의 향도적 역할을 ... ...
기억의 메커니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각조 1장은 전에
본
것이고 다른 1장은 보여주지 않은 것. 두 슬라이드 가운데 전에
본
것을 찾아내는 실험에서 정확한 대답을 한 사람은 전체 피험자의 85~95%에 이르렀다고 한다.시각적인 기억의 무한성에 실로 놀라지 않을 수가 없다.우리가 여행을 갔을 때 찍은 사진을 보면 사진 한장 한장을 ... ...
가열하고 녹이고 태운 뒤에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질량을 더한 것과 같아질 것이다.3. 다음은 물질이 타는 현상에 대한 여러 생각을 적어
본
것이다.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 것은?① 이 세상엔 절대로 타지 않는 물질도 있다. 산화구리처럼 이미 산소와 결합해 버린 경우가 바로 그 예다.② 물질이 탈 때는 산소가 필요하다. 밀폐된 용기 안에서 ... ...
VDT증후군의 실체를 알아
본
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따른 증상이므로 각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지 않으면 해결되기 어렵기 때문이다.이웃 일
본
만 해도 VDT 증후군과 관련된 전문연구기관이 여러개 설립돼 있고, 연구결과에 따라 쾌적한 OA환경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제대로 발생메커니즘도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므로, 보안경을 붙이고 새로운 ... ...
신은 주사위놀이를 좋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모든 일이 미리 확정된 운명적인 길을 걷는 것이 아니고 확률만이 주어질 뿐이라고
본
것이다. 한마디로 더 열려진 생각을 우리에게 심어준 셈이다.저 유명한 아인슈타인은 자신이 양자론의 발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확률적인 개념을 좋아하지 않았다. 아인슈타인이 ... ...
사진으로 보는 오스틴혜성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일반적인 별과는 달리, 핵 머리 꼬리 등으로 널리 퍼져있는 혜성이므로 지구에서
본
밝기는 육안관찰의 경계선인 5~6등급 정도. 결국 광해로 찌든 도시에서는 육안관찰이 불가능했고 시골에서나 희미하게 관찰이 가능했다.더군다나 5월 초순부터 중순에 걸쳐 비가 많이 오고 흐린날씨가 계속돼 멋진 ... ...
체험하는 영화「아이맥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소개한 입체영화들의 도입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대생기업 아이맥스 사업
본
부과장 최진열씨는 그 이유를 "첨단입체영상 도입에 앞서 구비해야 할 시설이나 시장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밝힌다. 아직은 국내에서 첨단 입체영화를 관람하기에는 좀 이른 듯하다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엷고 고르게 발라 청자로 하여금 날렵한 자태를 간직하게 한 것이다.실험적으로 조사해
본
결과, 유약의 두께는 놀라울 정도로 일정했다. 이는 중국청자가 유약을 두껍게 발라 투박하게 보이는 것과 대조적이다. 순청자기술이 완성단계에 이른 12세기 중엽, 고려도공들은 도자공예에서 새로운 ... ...
이전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