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퀴"(으)로 총 1,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과학동아 l201001
- 몸은 앞으로 쏠리므로 ‘하중 이동’이 필요하다. 만약 앞바퀴로 하중이 다 쏠려 뒷바퀴의 하중이 0이 되면 자전거는 앞으로 구를 수 있어 위험하다. 저자는 “가슴을 안장에 붙일 정도로 숙이고 허리는 낮춰서 엉덩이를 뒤로 빼면 무게중심을 옮겨 자전거를 안전하게 멈출 수 있다”고 사진과 함께 ... ...
- Part 4. 스키, 하늘을 날다수학동아 l201001
- 사격을 합한 ‘바이애슬론’이야. 예를 들어 20km 남자 경기는 5km 경기장을 한 바퀴 돌 때마다 사격을 해. 5발로 5개의 과녁을 맞춰야 하는데 5발을 넘으면 그 수만큼 전체 시간에 1분씩 추가하지. 10km 경기에선 3.3km를 돌고 사격을 하는데 5발을 넘은 수만큼 150m씩 더 돌아야 해. 총을 멘 채 스키를 타다가 ... ...
- Part 3. 멋쟁이 스키 친척수학동아 l201001
- 다이빙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돼. 하지만 모글은 도약대 높이가 50~60cm에 불과해서 한 바퀴를 도는 정도의 짧은 연기를 보여 줄 시간밖에 안 돼.프리스타일 스키는 회전에 높은 점수가 걸린 만큼 몸이 작고 유연한 동양 사람에게 유리해. 반지름이 작을수록 빠르게 돌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야. 이미 ...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과학동아 l201001
- 퍼내도 모래는 도로 제자리로 흘러내렸다. 돌을 아무리 받쳐도 차는 요지부동이다. 바퀴 주변을 넓고 깊게 판 끝에 11시간 만에 차를 모래 수렁에서 꺼냈다. 하지만 1km 앞 도로가 같은 지형이라 더 전진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였다.옆쪽 목초지대로 찻길을 만들어 빠져나가는 것이 유일한 대안이었다. ...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수학동아 l201001
- 상(上), 돈이 나갈 때는 하(下)로 표시했습니다.수입은 올리고, 지출은 내려 적는 톱니바퀴식 기록 방법은 고려 때부터 시작됐습니다. 개성은 그 당시 국제 무역의 중심지로, 아라비아나 인도 등 세계에서 온 상인들로 붐볐죠.개성의 상인들은 들어오는 돈, 나가는 돈과 함께 이익인지 손해인지를 알아 ... ...
- [뉴스 속 수학 읽기] 주차도 계산해서 한다?수학동아 l201001
- 생기는 원의 반지름과 자동차의 앞바퀴와 뒷바퀴 중심 사이의 거리, 그리고 자동차의 앞바퀴부터 자동차 앞 끝까지의 거리 등이 필요합니다.공식을 이용해서 구한 최소 공간과 주어진 공간의 크기를 비교하면 주차를 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블랙번 교수는 “주차 공식이 간단하지 ...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어린이과학동아 l200913
- 118톤의 짐을 지구 궤도에 올릴 수 있다. 지구 궤도에 올라간 아폴로11호는 지구를 한 바퀴 반 돈 후 달을 향해 떠났다.아폴로11호에서 승무원이 생활하는 공간을 커맨드 모듈이라 부른다. 커맨드 모듈에서는 3명의 승무원이 달에 다녀오는 8일 동안 생활할 수 있다. 지구에 돌아올 때 대기권의 마찰을 ... ...
-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신대륙과학동아 l200912
- 도구를 통해 현실세계로 가져온 매우 실용적인 연구실이다.연구실 입구에 들어가자 바퀴가 세 개인 자전거가 한 대 있다. 얼핏 보면 일반적인 삼륜 자전거 같지만 안장의 위치가 낮고 특수 설계된 페달이 달려 있다. 바로 장애인을 위해 누워서 탈 수 있도록 개발된 자전거다. 또 초소형 잠수함 ... ...
- 달려라! 녹색 자전거어린이과학동아 l200912
- 요즘 미래의 자전거 중 하나로 꼽히는 전기자전거! 자전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바퀴 두 개와 페달, 심지어 체인까지 모두 갖추고 있지만 사람의 발 외에 또 하나의 동력원인 전기 모터를 갖추고 있다. 오토바이와 비슷해 보이지만 휘발유를 쓰지 않아 오염이 없고, 페달만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 ...
-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계 변신의 귀재, 선!수학동아 l200912
- ‘찌르다’를 뜻한다. 원의 반지름을 뜻하는 영어단어 radius는 고대 라틴어로 ‘수레바퀴의 살’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원의 지름을 뜻하는 diameter는 ‘가로지르다’를 뜻하는 dia(디아)와 ‘측정하다’를 뜻하는 meter(미터)가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다. 원의 둘레를 의미하는 원주는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