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리
수레바퀴
차륜
타이어
굴레미
링
반지
d라이브러리
"
바퀴
"(으)로 총 1,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만 하면 생각대로’ 움직이는 휠체어
과학동아
l
200907
앉아 주변을 바라보면 앞에 있는 스크린에 주변 모습이 3D지도로 나타난다. 이때
바퀴
에 달린 센서는 휠체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어디로 이동할 수 있는지 미리 생각한다.사용자가 목적지를 바라보면 헬멧의 전극이 뇌의 활동을 밀리초(1000분의 1초) 단위로 인지한다. 그러면 스크린에 목적지가 ... ...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꿈
과학동아
l
200906
에너지 효율면에서 불리하다”고 설명했다.도로를 달리려면 엔진에서 발생시킨 동력을
바퀴
에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이 추가로 들어가며 무게가 늘 수밖에 없는 단점도 있다. 안존 교수는 “만약 트랜지션이 무게를 줄이기 위해 안전계수 를 낮춰 설계할 경우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06
HBD)로 양쪽
바퀴
의 온도를 각각 재서 마모를 판단한다. 둘 사이의 온도 차가 너무 크면
바퀴
를 제어하는 베어링 한쪽이 과열로 마모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 선로의 중앙에 60km마다 ‘끌림물체검지장치’가 설치돼 있다. 차체에서 떨어져 나온 부속품이 없는지 즉각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 ...
은반 위의 과학! 피겨스케이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6
있어. 피겨 선수의 우아하고 가벼운 몸놀림은 마치 깃털 같아서 눈을 뗄 수 없군. 몇
바퀴
나 회전했다가 다시 빙판을 가르는 모습을 볼 때면 나무 사이를 뛰어다니는 다람쥐와도 같지. 그런데 듣자하니 2분 30초에서 4분밖에 되지 않는 피겨 경기가 마라톤만큼 체력을 많이 필요로 한대. 혹시 피겨 ... ...
도로 위 안전 책임지는 자동차 속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905
크게 이탈하지 않도록 돕는다.하지만 ABS와 ESC의 도움을 받더라도 기본적으로 자동차는
바퀴
와 도로면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해 차를 세우기 때문에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 사람의 반응시간과 마찰력을 고려할 때 시속 100km로 달릴 경우 최소 100m의 안전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 ...
찰나에 깜박이는 초강력 레이저로 세계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05
분자가 에너지를 전달하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 수소 원자에서 전자 가 원자핵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정답은 각각 350펨토초와 0.15펨토초. 1펨토초는 1000조분의 1초로 눈 깜빡할 사이(약 0.1초)에 비할 수 없게 짧은 ‘찰나의 시간’이 다. 세상에서 가장 빠르다는 빛도 1펨토초 동안 ... ...
4단 변신 로봇 포인원
과학동아
l
200905
수 있는 로봇이다. 또 리모컨으로 좌우
바퀴
와 좌우 집게에 달린 모터 4개를 제어한다.
바퀴
에 변속기가 달려 있어 로봇의 이동 속력도 바꿀 수 있다.마우스로봇이수펫(ISUPET) | 5만 9000원바닥의 검은 선을 인지해 선을 따라 달린다. 로봇 앞쪽에 나와 있는 철사가 앞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04
x축 성분은 x=Acosωt이다. 이 운동은 최대값이 +A에서 -A까지 주기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바퀴
가 회전하는 운동은 피스톤의 단진동으로 변환된다. Q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옛날부터 사람들은 자기력을 신비하게 느껴 자기장이 인체나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왔다. 이런 효과의 ... ...
소유스를 내 손으로 날리자!
과학동아
l
200904
문제에 따라 작품을 구상해 부품을 조립한다. 이 종목에서는 ‘기어 3종류, 풀리 3종류,
바퀴
4개 이하로 탁구공을 가장 멀리 던지는 장치를 만들어라’ 같은 문제가 주어진다.고무동력기 | R-1 | 아카데미 | 5000원 글라이더 | T-1 | 아카데미 | 4500원 나무와 ... ...
심해저 깊은 맛 해양심층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03
무거워진 물줄기는 수심 200m에서 최저 4000m까지 내려가 심층해류를 형성한 뒤 지구를 한
바퀴
도는 오랜 여행을 시작한다.경동대 해양심층수학과 어재선 교수는 “북대서양의 그린란드에서 침강한 바닷물은 대서양 서쪽을 타고 남극 주변으로 이동한 뒤 태평양을 거쳐 인도양으로 움직이는데, 이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