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어린이과학동아 l201617
- 거북목은 단단한 껍질로 온몸을 보호하고 있는 파충류예요. 바다에서 서식하는 바다거북과 저수지나 호수에서 서식하는 민물거북, 또는 육지에서 서식하는 육지거북으로 나뉘지요. 우리나라에서는 총 4과 6종의 거북목이 보고됐고, 광릉숲에 있는 호수인 ‘육림호’에서 남생이와 붉은귀거북을 찾 ... ...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17
- 섭섭박사님이 이번엔 발명가를 꿈꾸는 어과동 기자단 친구들을 초대했어요. 그리곤 함께 전자 회로를 만들고 그 회로를 이용한 전자 제품을 만들어 보기로 했죠. 어떻게 전자 제품을 직접 만들 수 있다는 걸까요? 또 여기엔 어떤 과학 원리가 숨어 있을까요? 섭섭박사님의 재미있는 실험 시간을 함 ... ...
- [쇼킹 사이언스] 지구의 푸른 보석, 블루홀어린이과학동아 l201617
- 있는 블루홀의 모습. 한 사람이 다이빙 장비를 갖추고 블루홀 안쪽을 살피고 있다(작은사진).지난 7월 24일, 중국 산샤시에서는 63빌딩이 들어가고도 남을 만한 블루홀이 발견됐어요. 그뒤 이 블루홀에는 ‘세계에서 가장 깊은 블루홀’, ‘드래곤홀’이라는 별명이 붙었지요.산샤시 연구팀은 작년 ... ...
- Part 3. 나무 건축, 과연 안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17
- 나무는 친환경 건축재료라는 장점이 있지만, 인공적으로 만든 다른 재료와 비교하면 약점도 가지고 있어요. 건축가들 역시 이런 나무의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했답니다.➊ 강도가 약하지 않을까?살아 있는 나무에는 공기와 물 등이 포함돼 있는데, 이런 물질은 나무의 강도를 약하게 해 ... ...
- [핫이슈] SW로 세상을 바꿔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17
- SK하이닉스가 기획하고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이 주최한 ‘행복한 과학기술 공모전’의 수상작이 발표됐어요. 행복한 과학기술 공모전은 아동과 장애인, 노인, 다문화, 환경 등 사회적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컴퓨터와 모바일 디바이스 등에서 작동할 수 있는 SW(소프트웨어)로 개발하는 ... ...
- Intro. 전자 심판으로 오심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안녕? 난 브라질 리우올림픽의 마스코트 ‘*비니시우스’야. 올림픽은 다양한 운동경기를 통해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전세계인의 축제란다. 그런데 선수들 말고도 경기를 흥미롭게 만드는 또 하나가 있다는 거 알고 있니? 그건 바로 ‘전자 심판’이야. 인간이 알아차리기 힘든 ... ...
- Part 3. 전자 심판으로 더욱 흥미진진한 2016 리우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태권도 경기이번 리우올림픽 태권도 경기에서는 새롭게 바뀌는 부분이 많아요. 먼저 경기장이 4각에서 8각으로 바뀌고, 경기장 면적이 64m²에서 52.48m²으로 18%나 줄어들어요. 이 때문에 득점과 방어를 위해 선수들이 더 역동적으로 움직여야만 하지요.게다가 몸통 회전 공격은 ... ...
- [현장취재 ➋] ‘마인크래프트 코딩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게임 캐릭터를 움직이며 배우는 코딩마인크래프트는 스웨덴 게임사 ‘모장’이 2011년에 내놓은 어드벤처 게임이에요. 정육면체 모양의 블록을 쌓거나 부수면서, 게임 세계 안에서 필요한 모든 것을 만들고 움직일 수 있어요. 원한다면 거대한 도시를 건설하거나, 심지어 게임 안에 컴퓨터를 만들어 ... ...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순간에 몸의 움직임을 더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지요.또 기존에는 1초에 2000장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었던 미세분할 비디오 시스템을 1초에 1만 장이나 찍을 수 있게 만들었어요. 사람의 눈은 1초에 24장의 이미지가 연속되면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것으로 인식하는데, 그보다 400배 이상 정교하게 볼 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예요. 지구는 둥그런 공 모양인 줄 알았는데, 어떻게 된 걸까요?이 사진은 ‘지오이드(geoid)’라는 지구 중력장 지도예요. 중력의 크기는 지형에 따라 다 다른데, 이 차이를 색과 모양으로 표시한 거예요.일반적으로 지구는 질량이 큰 지역일수록 중력이 커져요. 그리고 그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