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3
왜 곤충에게 ‘하늘소’라는 이름이 붙은 걸까요? 그건 바로 뿔을 닮은 긴 더듬이와 우직한 얼굴, 크고 둥근 눈이 소를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에요. 하늘을 날아다니는 곤충이 소를 닮았다 해서 ‘하늘소’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답니다.하늘소는 전세계에 3만 5000여 종이 살고 있어요. 우리나라 ...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3
않는다면 그림이 오히려 뭉개져서 잘 보이지 않게 돼요. 달리고 있는 개의 모습을 찍으면
사진
이 흐릿하게 나타나는 것처럼 말이에요.이를 위해서 기자단 친구들은 거울 역할을 하는 가운데 크리스탈 종이를 여러 번 꺾어 주었어요. 꺾인 모서리가 짧은 공백 역할을 하는 거예요. 같은 간격으로 살짝 ... ...
Part 2. 미세먼지보다 작은 살균제가 폐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은 하루에 평균 7~10시간 동안 가습기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때 가습기를 깨끗하게 쓰기 위해서 물에 살균제를 부어 두었죠. 이 살균제 성분이 가습기에서 나온 아주 작은 물방울에 실려 사람의 몸속으로 들어간 게 문제였어요.살균제 성분은 원래 마시면 안 돼!우리 ... ...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600개 펜 상자에 사랑을 담아 전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
튼튼한 펜들만 보내요! 펜 건강검진지난 5월 24일 에는 70여 명의 친구들과 부모님들이 모였어요. 바로 펜 건강검진을 하기 위해서지요.펜 건강검진을 하기 전에 먼저 중학교 3학년 때부터 지금까지 8년째 펜을 모아 전세계 친구들에게 보내는 ‘호펜’ 활동을 해오고 있는 임주원 씨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요구르트 병 로켓을 발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는 여름날, 섭섭박사님은 답답한 실험실을 벗어나 마당으로 나왔어요. 그리고는 커다란 나무 그늘에 돗자리를 펴고 ... 병 로켓 실험을 비롯해 실험하는 모습을 홈페이지에 올려 주세요.
사진
이 실리는 기회와 함께 선물을 드려요. 많이 참여해 주세요~ ... ...
[수학 뉴스] 폴 포그바의 댄스, 수학 문제로 등장
수학동아
l
201612
완벽한 댑 댄스는 몸과 팔, 머리로 직각삼각형 두 개를 만들어야 한다. 그렇다면
사진
속 포그바의 댑 댄스는 완벽할까?망숑은 학생들에게 ‘삼각법’을 가르치기 위해 이 문제를 만들었습니다. 삼각법은 삼각형의 변과 각 사이의 관계를 따지는 수학의 한 분야로, 대표적으로 ‘피타고라스 ... ...
[과학뉴스] 세포와 함께 하는 메리크리스마스
과학동아
l
201612
660만 달러(77억6820만 원)를 지원받는다.공동연구팀은 예시로 마이코플라즈마를 모델링한
사진
을 공개했다(
사진
③). 세균에 속하는 마이코플라즈마류에는 소의 전염병인 우폐역, 그리고 폐렴의 원인이 되는 세균들도 있다. 하지만 이들이 공개한 마이코플라즈마의 모습은 크리스마스 트리의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12
했지만 속는 셈치고 그의 말에 따랐다. 잠시 뒤 기적이 일어났다. 돌이 물 위에 떴다(아래
사진
). “서기 939년이나 946년 천지 아래에 있던 마그마가 폭발하는 순간에 만들어진 부석입니다. 기공 함량이 60~70%나 되죠.” 옆에 서있던 김기범 경상대 기초과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는 이런 부석이 폭발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
과학동아
l
201612
것을 권고했다.[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감염된 질 상피세포(왼쪽)와 주혈흡충(오른쪽)
사진
. 세균성 만성 질염이나 기생충 감염 때문에 아프리카의 어린 여성들이 HIV에 감염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보다 적극적인 화학요법도 있다. 노출 전 예방요법(Pre-Exposure Prophylaxis)으로,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
과학동아
l
201612
채 발굴된 32구의 뼈를 실험실로 옮겨 개체를 구분한 적이 있다. 상세히 기록된 도면과
사진
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뼈가 애초에 무작위로 섞인 채 발견됐다면 현장보다는 실험실에서의 역할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다. 법의인류학자들은 뒤섞인 뼈를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훈련을 받는다. 예를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