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음식
식품
먹거리
영양물
먹이
음식물
d라이브러리
"
식량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6 바다 속에서 대체
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12
비타민 A 대체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해양생물공학기술은 해양으로부터의
식량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는 별로 이용되지 않는 미세조류로부터 거대조류 또는 갑각류 연체류 어류와 같은 고등 생물에까지 해양생물공학기술이 적용되면 좀 더 쉽고 생산성 높은 양식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11
1천7백억배럴의 석유와 40여종의 광물자원은 앞으로 육상자원이 한계에 달했을 때 인류가
식량
에너지 생활공간 등을 찾기 위해 바다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해양의 연구와 개발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뿐만 아니라 선진국들은 해양개발에 대한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11
해 지구상의 모든 생물의 유전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이용한 유전공학과 생명공학기술로
식량
의약품 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유용한 생물자원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21세기 중엽에 고갈될 석유자원과 석유산업의 대체방안이고, 인류의 복지와 문화수준 향상의 ... ...
6 오랜 전통과 국가적 지원으로 눈부신 성장
과학동아
l
199210
유전공학 단백질공학 단세포군항체 등이며 농업 및
식량
연구위원회에서는 농업 및
식량
에 관련되는 미생물 동물 식물의 분자생물학, 유전공학, 단백질공학을 지원한다. 과학 및 공학연구위회는 발효공정 생물공정 동물세포공학 단백질공학 등을 맡고 있으며 자연환경연구위원회는 유전자조작에 ... ...
PART3 날로 다양해지는 쌀가공품들
과학동아
l
199209
않는다.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쌀밥을 외면할 경우 국민의 영양학적인 측면 뿐 아니라
식량
의 국내 자급도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땀흘려 생산한 쌀이 잘 활용될 수 있도록 가공기술을 개발하고 좋은 가공식품을 외국에 수출할 수 있도록 앞으로 이 분야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있어야 한다. 국내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09
록펠러재단 그리고 필리핀 정부의 지원아래 주로 아시아의 벼농사를 짓는 지역 농민들의
식량
증산을 도와주기 위하여 설립되어 UPLB에 근접한 곳에 연구센터의 자리를 정하고 1961년부터 벼육종을 시작하였다. 1962년 2월 7일 록펠러 3세와 필리핀 대통령 마카파갈에 의해 연구센터가 IRRI에 증정되었다.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
과학동아
l
199209
있을 정도로 쌀은 생명을 유지하는 중요한 곡식, 그리고 가장 맛있고 신비한 힘을 가진
식량
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의 신사(일본의 여러 신을 모시는 절)는 전국적으로 8만개소 정도가 있는데 이곳에 반드시 '쌀의 신'을 모시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일본인에게 있어서 쌀은 절대적으로 신성한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05
5월에는 기본 모듈에 승무원 수송용의 소유즈TM우주선과 천체관측모듈인 크반트, 연료와
식량
등 각종 물자를 실어 나르는 무인 보급선 프로그레스가 도킹해 최초의 4모듈 우주정거장의 모습을 갖추기도 했다.미르에는 항상 선장과 기술비행사 두명의 승무원이 상주하며 이들은 보통 4~6개월만에 ... ...
하이테크 압력식품
과학동아
l
199205
'열'이 아닌 '압력'만을 사용해 음식을 조리하는 것이 바로 하이테크 식품이다. 교토대학
식량
과학연구소 하야시 교수는 "이전부터 단백질연구자들 사이에는 압력이 단백질을 변화시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이를 식품연구에 적용해보려는 시도는 없었다"고 말했다.자연계에서 물질의 상태를 ... ...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205
베토벤 후르시초프 스탈린 전봉준 등 수없이 많은 소영웅들이 역사를 주도했다. 또 세계
식량
기구(FAO)에서는 21세기는 작은 키가 환영받는 시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어쩌면 '존 웨인 시대'는 서서히 저물고 '더스틴 호프만의 시대'가 다시 열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