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흡수
d라이브러리
"
흡수작용
"(으)로 총 8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11
감정을 표현하는 기호인 이모티콘을 누가 최초로 사용했을까. IBM의 스콧 팔만은 자신이 1982년 인터넷 채팅 중에 스마일을 나타내는 :)을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그후 12살짜리 소녀들과 회사 법률가들이 자신의 e메일에 사용했다. 이모티콘의 원조는 아직 논란중이다. 암컷의 2개 X염색체 ... ...
3. 이산화탄소 격리 기술의 허점
과학동아
l
200210
최근 지구 생태계는 늘어난 이산화탄소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이에 따라 지구촌 차원에서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줄이려는 각종 정책이 채택된 바 있다. 하지만 단편적 시각만으로 당장 눈앞의 이익만 쫓는 각종 탄소 격리 기술도 선보이고 있다. 어떤 방법이며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보자.몇년 전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10
영국의 기구비행사 두명이 고도 40km까지 올라가 새로운 유인기구비행 고도의 신기록 수립에 도전한다. 이들은 이상적인 발사가능 시간대를 결정하기 위해 72시간 대기에 들어갔다. 9월말 전에는 기구가 발사될 것이고, 24km 이상에서 부는 바람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자동화된 금속형 주조법 또는 ... ...
1. 자연이 온실가스 증가 막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10
산업화로 인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늘어나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려가 높다. 그런데 늘어난 이산화탄소는 오히려 식물의 광합성을 증대시켜 상당 부분 자연적으로 흡수된다는 전망이 있다. 한편에서는 미국의 이익을 앞세운 잘못된 연구결과라고 반박하고 있다. 과연 이산화탄소는 어디로 갈 것 ... ...
로봇 툼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10
지난 9월 17일 고고학자들은 이집트 기자의 대피라미드 묘실 남쪽 벽에 있는 환기통로로 소형로봇을 들여보냈다.푸린 및 피리미딘염기(鹽基)와 당의 환원기가 결합한 글리코시드 형의 화합물 디옥시리보오스인 것을 디옥시리보뉴클레오시드라고 한다 후자는 리보뉴클레오시드보다 불안정하고, 디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10
지구 자원이 대체되는 속도는 현재 인류가 지구 자원을 고갈시키고 있는 속도를 따라올 수 없다고 UN은 밝혔다. 세계 인구 중 가장 부유한 15%는 지구 자원 전체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후진국 성장의 기준이 되는 자원이 빨리 고갈되는데 한몫하고 있다. 북반구의 열대 대양상에서 북동 무역 ... ...
미 해군의 음파탐지기는 해양 동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09
환경단체들은 더욱 강력해진 미 해군 음파탐지기 시스템이 고래를 비롯한 다른 해양 동물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미 해군 측은 새로운 음파탐지기 시험 결과 해양 동물들에게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주장한다.염료분자와 크롬 등 금속이온이 착염의 ... ...
인라인 스케이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9
최근 공원이나 강변에서 바퀴 달린 신발을 신고 아이스 스케이트처럼 질주하는 광경을 흔하게 만날 수 있다. 바로 인라인 스케이트다. 왕초보자라도 인라인 스케이트를 쉽게 탈 수 있도록 기초부터 완성까지 물리학으로 풀어보자. 외국에서는 출퇴근하거나 이동할 때 인라인 스케이트를 자주 이용 ... ...
X선 구조분석학 미시 세계 영화처럼 보여주는 투시 기술
과학동아
l
200209
재료의 구조를 통해 성질을 밝히는 X선 구조분석학은 재료공학의 가장 기본 분야다. 그런데 최근 이 분야에서 물질 내부의 현상을 보여주는 초고해상 실시간 X선 투시현미경 기술이 등장했다. 생명공학과 나노과학 발달에 공헌하리라 전망되는 첨단 재료공학분야를 만나보자.최근 지금까지 상상만 ... ...
인공위성으로 미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09
자녀를 잃는 일은 모든 부모에게 최악의 악몽이다. 그러나 이제는 소형 위성항법장치(GPS) 기술이 장착된 개인용 위치탐지장치가 인공위성 추적과 무선통신을 통해 자녀가 어디에 있든지 그 위치를 60초안에 부모에게 알려준다. 이 장치는 미국의 웨러파이와이어리스사가 개발했다. 대수학에서 사용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