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
정신
머릿골
뇌
두상
지능
지성
d라이브러리
"
두뇌
"(으)로 총 996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컴퓨터에서 일어나는 모든 연산과 처리를 담당하는 반도체 칩이다. 인간으로 따지면
두뇌
에 해당한다. 1971년 4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가 32비트로 발전하는데는 10년 정도 걸렸다. 하지만 그 후 지금까지 20년간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 단위는 32비트에 머무르고 있다. 비트는 컴퓨터가 외부 정보를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현재 교육부 학술연구 진흥정책 자문위원현재 교육부
두뇌
한국21 후속사업(Post-BK21)기획단 소위원회 위원장현재 대통령자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8기 위원 새로운 물질의 성질을 밝힌다오세정 교수님은 새로운 물질의 성질과 원리를 밝혀 내는 일을 하고 있어요.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된 현행 수학 체계에서는 구구단 이상의 효과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19단을 외우면
두뇌
가 개발된다는 주장도 마찬가지였다. 뇌 전문가인 서울대 의대 서유헌 교수는 “19단을 외우면 좌우 뇌가 발달한다는 말은 전혀 타당하지 않다”며 “어린이에게 19단을 억지로 외우게 하면 오히려 창의성이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수행하는 컴퓨터
두뇌
를 가진 아디다스 1이 모습을 드러냈다. 쿠셔닝 조절하는 컴퓨터
두뇌
아디다스 1을 신으면 우선 옆에 달린 (+)(-) 버튼부터 눌러야 한다. 버튼을 누르면 발광다이오드에 불이 들어오고 그 때부터 인공지능 시스템이 작동을 시작한다. 수은 전지 하나면 인공지능 시스템의 도움을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모양으로 사람의 성격이나 정신능력을 추정하던 학설이다. 독일 신경해부학자 조셉 갈은
두뇌
에서 많이 사용하는 부분은 용적이 커져 두개골을 밀어내는 효과가 있고, 사용하지 않는 부분은 함몰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설은 실험적 증거를 찾기 위한 노력이 없었고, 때로 남녀차별이나 ... ...
뇌에도 유쾌한 운동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두뇌
를 위한 예술은 수학이라는 것. 수학에 퍼즐의 재미를 더했으니 수학퍼즐은
두뇌
의 만화책이라 부를 만하다고.그는 2001년 여름 ‘재미있는 영재들의 수학퍼즐’을 펴냈다. 한국인이 한글로 수학퍼즐 책을 출판하기는 처음이었다. 그리고 2년 뒤 기다렸다는 듯 2권을 선보였다. 아직까지 그의 ... ...
안 봐도 보이는 모자 색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100만 부의 판매고를 올렸다. 아무리 출판 강국 일본이라지만 대단한 기록이 아닐 수 없다.
두뇌
의 체조 시리즈는 1990년대 초 우리나라에서도 번역돼 나왔는데 판매 부수는 그리 대단하지 않았다. 1990년대 말에 일부 내용을 번역한 책도 나왔지만 오히려 책의 구성이나 만듦새는 그 이전 번역판보다 ... ...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분이 흘렀는데 아직도 태풍의 출현가능성을 계산하고 있는 슈퍼컴퓨터처럼 말이다. 인간
두뇌
의 사고능력은 결코 그런 식으로 진화할 수 없었다.인간의 합리성에 대한 전통적 견해의 비현실성은 심리학자 허버트 사이먼이 1957년 제시한 ‘만족화 모형’에 의해 본격적으로 비판받기 시작했다. 이 ... ...
돌아온 외계인 스콜피오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산소를 노렸던 외계인‘스콜피오스’가 또다시 지구를 찾아왔다. 이번에는 지구인들의
두뇌
에 도전장을 낸 것. 이번 역시 네 가지 문제를 준비했고, 이를 모두 맞히지 못하면 지구를 침략하겠다는 것이다. 단, 문제는 머리와 몸통의 크기가 같고, 주로 주먹을 쥐고 사는 국적 불명의 탐정이 풀어야 ... ...
한국 드디어 로봇 르네상스 열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있다. 몸집의 한계 때문에 로봇의
두뇌
즉 컴퓨터는 비교적 작은 편이다. 그러나 NBH-1은
두뇌
가 몸 밖에 있다. 로봇이 외부 컴퓨터와 무선으로 연결된 것이다. 유 박사는 이 로봇을 ‘네트워크 기반의 휴머노이드’라고 부른다. 2~3년 뒤 아시모 따라잡겠다NBH-1은 로봇 안에 집어넣을 수 없는 큰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