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d라이브러리
"
밝기
"(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떠 있으며 처녀자리에 위치해 있다. 이날 달에 가려지는 별은 처녀자리의 감마성으로
밝기
2.8등급이다. 이 별은 처녀자리의 와이(Y)자 중심 별로 잘 알려져 있는 친숙한 별이다.성식이 일어나는 시각은 동이 터오기 약간 전으로 새벽 5시 30분 경이다. 이 무렵 달을 쳐다보면 달 바로 옆 동쪽에 바짝 ... ...
크리스마스 트리 닮은 별무리의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크리스마스 트리성단을 잘 보면 가운데 밝은 별이 보인다. 이 별은 외뿔소자리 S별로
밝기
가 변하는 별인 변광성이다. 만약 S별이 크리스마스 트리성단의 꼭대기에 있었다면 금상첨화였을 것이다. 트리를 장식하는 베들레헴의 별로서 손색없었을 테니까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이를 기준으로 하면 일등성의
밝기
는 1촉광의 빛을 107km 떨어진 곳에서 보는
밝기
와 같다 그러나 이보다 밝은 별은 마이너스로 표시한다 가령 태양은 -267등급, 보름달은 평균 -125등급이다 포유류의 우제목(偶蹄目)에 속한 되새김동물 낙타과(科) 애기사슴과 사슴과 기린과 소과 등의 동물이 여기에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쌍안경에 비해 오히려 존재 확인이 어려울 수도 있다.그 이유는 역시 M33의 낮은 표면
밝기
때문이다. 천체망원경은 쌍안경에 비해 대개의 경우 배율이 높다. 이 은하는 망원경의 한 시야를 꽉 채울 만큼 크고 매우 어두운데다 경계가 뚜렷하지 않아서 비교적 높은 배율의 천체망원경으로는 만만치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그 사진에는 세페이드변광성 하나가 찍혀있었던 것이다. 세페이드변광성은 주기와
밝기
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변광성으로 천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가장 정밀한 방법 중 하나를 제공하는 열쇠였다. 이 변광성에 의해 안드로메다은하까지의 거리는 이전에 알려져 있던 10만광년이 아니라 무려 9 ... ...
2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나타나려면 빛을 내는 발광 부분(화소)를 전기적으로 끄고 켤 수 있어야 하고 또 빛의
밝기
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스위칭 역할을 해주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필요하게 된다. 이 스위칭 소자 역시 유기물 재료가 가능하기에 OTFT(Organic Thin Film Transistor)라고 한다.OT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불규칙적인 별 불규칙한 변광성 가운데는 태양의 플레어(flare)처럼 짧은 기간에 급격하게
밝기
가 변하는 적색 주계열의 별들이 있다이것을 고래자리 UV형 변광성 또는 플레어별(flare star)이라고 한다외부 은하의 일종으로 축대칭이 아니고 항성이나 성간물질이 불규칙하게 분포하는 은하 제 I 형과 ... ...
밤하늘 별은 7천억의 1천억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작은 부분을 선택해 강력한 망원경으로 약 1만개의 은하를 찾아냈고 이 은하들의
밝기
를 세밀하게 측정해 개개의 은하에 포함된 별들의 수를 계산해냈다. 그 다음에 전체 밤하늘로 확장했고 관측 가능한 우주의 끝까지 고려했다. 그래서 나온 숫자가 7천억의 1천억배다.드라이버 박사는 현재망원경이 ... ...
별밭에 숨어 있는 보물 석호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수 있다. 해 뜨기 조금전인 6시경에 일단 동쪽하늘에서 목성을 찾는다. 이 무렵 목성의
밝기
는 -1.7등급이므로 동쪽 하늘에서 가장 밝다. 목성을 찾았으면 목성과 지평선의 중간 위치를 살펴본다. 눈에 보일 듯 말 듯한 작은 별이 하나 떠 있으면 이것이 바로 수성이다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현재 염소자리 한중간에 위치해 있다. 이 날은 음력 7월 7일인 칠석이다.해왕성의
밝기
는 8등급으로 다소 어두워 쌍안경을 쓰지 않으면 볼 수 없다. 또, 해왕성은 천왕성에 비해 움직임도 매우 느리다. 천체사진 매니아라면 이 무렵 화성과 천왕성, 해왕성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충을 맞이하므로 한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