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d라이브러리
"
밝기
"(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002년 9월 3일 미국 애리조나주의 한 아마추어 천문가가 특이한 천체를 하나 발견했다.
밝기
16등급, 크기 20-30m. 그리고 1분에 한번씩 자전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그는 문제의 천체에 ‘J002E3’이라는 임시이름을 붙여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MPC)에 보고했다. MPC에서는 알려진 소행성과 최근 발사된 ... ...
나선은하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속물질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겨울밤하늘 웅장한 오리온의 발 밑에 자리한 거대한 별자리다. 저마다 자신의
밝기
를 뽐내는 화려한 별들과 대조적으로 어두운 별로 이뤄진 이 별자리는 지평선 근처에서 조용히 굽이치고 있다. 어둡고 음산한 별자리임에 틀림없다. 신화에 따르면 에리다누스는 지상에서 황천으로 흐르는 죽음의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원리다. 컬러 TV는 전자총과 형광체의 색깔이 다양하게 조합돼 색을 발현한다. 빛의
밝기
는 전자총에서 나오는 전자광선의 세기에 따라 결정된다.CRT 넘어 LCD와 PDP, 유기EL로 발전최초의 CRT가 탄생한지 1백 여년이 지난 지금, 노트북이나 PC의 모니터로는 LCD를, 대형 TV로는 PDP를 떠올릴 만큼 차세대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다른 유성우에 비해 떨어지는 시간대가 짧고 또 순식간에 집중적으로 떨어진다. 유성의
밝기
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와 비슷할 정도로 상당히 밝은 편이다. 유성이 가장 많이 떨어지는 시간대에는 무려 시간당 1백개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일반 유성우 중에서 가장 많다.올해의 경우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A*가 갑자기 밝아졌다. 수분 내에 평소
밝기
의 45배나 밝아졌고 3시간 정도 후에 평소
밝기
로 돌아갔다. 소행성 질량 정도의 물질이 갑자기 블랙홀에 잡아먹힐 때 발생하는 에너지로 추정됐다. 아울러 궁수자리 A*의 크기는 1천5백만km로 계산됐다. 태양 둘레를 도는 수성 궤도의 1/4도 안되는 크기다.200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외부 온도를 인체로 전달한다는 사실과 눈 망막에 존재하는 일군의 수용체가 주변의
밝기
에 따라 ‘생체시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가 선정됐다.물리학에서는 원자 주위를 초고속 회전하는 전자의 움직임도 레이저를 이용해 촬영할 수 있는 ‘아토세컨드’(attosecond, 10-18초) 레이저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불규칙적인 별 불규칙한 변광성 가운데는 태양의 플레어(flare)처럼 짧은 기간에 급격하게
밝기
가 변하는 적색 주계열의 별들이 있다이것을 고래자리 UV형 변광성 또는 플레어별(flare star)이라고 한다외부 은하의 일종으로 축대칭이 아니고 항성이나 성간물질이 불규칙하게 분포하는 은하 제 I 형과 ... ...
2. 현재 우리은하는 충돌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사실만 봐도 알 수 있다.최근에는 충돌하는 은하에서 발견된 젊은 구상성단들의 색과
밝기
를 관측해 은하 충돌이 얼마나 오래 전에 일어났는지를 추정하고 있다. 이들 성단은 은하의 진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나선은하 둘을 더하면?은하들이 충돌한 후 하나로 합병될 때 결국 ... ...
토성 1년만에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호이겐스다.토성의 고리는 언뜻 보면 하나로 보이지만, 세밀히 관측하면 고리의
밝기
가 부분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즉 토성의 고리는 하나가 아니라 여러개로 나뉘어 있는 모습이다.토성의 고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특징이라면 고리 사이의 작은 틈이다. 이 간극은 1675년 ... ...
살아 꿈틀거리는 우주의 집게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송나라 문헌에 등장하는 ‘손님별’(객성)로 밝혀졌다. 이 문헌에는 1054년 거의 보름달
밝기
의 새로운 별(손님별)이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다. 또 미국 북부 애리조나의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동굴 벽화에 밝은 별을 초승달과 함께 그려 넣었는데, 연구 결과 이 별도 1054년의 손님별로 확인됐다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