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d라이브러리
"
셀
"(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셀
)라는 플라스틱 필름에 움직이는 캐릭터를 그려넣고, 배경 위에 각각의 캐릭터
셀
을 겹쳐서 촬영한다. 1915년 미국의 얼 허드가 발명한 후 월트디즈니의 미키 마우스시리즈를 통해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찰흙으로 만드는 신기한 세계’ 클레이 애니메이션찰흙으로 캐릭터를 만들어 배경 ... ...
속임수로 잎의 방어를 뚫는 세균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실험에서 잎이 세균의 공격을 받을 때 기공을 닫는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 9월 8일‘
셀
’에 발표했다.보통 잎의 기공은 세균에 노출된 지 한시간 안에 닫힌다. 이런 행동은 식물이 세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다.식물의 잎은 단단한 층으로 덮여 있어 세균이 식물세포로 침투하려면 잎에 난 ... ...
붓끝에 수학 듬뿍 묻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하고, 또 한편으로는 생명이 있는 한개의 알갱이가 커다란 물고기로 성장하기도 한다.러
셀
의 패러독스 : 집합 S={x : x∉x}를 생각하자. 만일 S∉S라고 가정하면 주어진 집합 S의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S∈S가 되고, 만일 S∈S라고 가정하면 주어진 집합의 조건을 만족해야 하므로 S∉S가 되므로 모순이 ... ...
개는 죽지만, 세포는 옮겨 산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진화해 현재 세계의 개들 몸속에 살고 있다. 지난 8월 11일 세포생물학 분야 권위지 ‘
셀
’(Cell)에 실린 논문에서 영국 런던대의 로빈 와이스 교수는 개에서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인 ‘성기육종’을 연구한 뒤 이 같이 결론을 내렸다. 이 논문의 제3저자는 시카고대 통계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Panel, 플라스마표시장치)는 혼합가스를 넣은 얇은 유리 기판 두 장 사이에 작은 공간(
셀
)을 만들고, 그 아래위로 전극을 붙인 다음 플라스마(plasma)를 방전시켜 색을 입힌 형광체를 자극해 화면을 구현한다. 즉 수백만 개의 아주 작은 형광등을 화소마다 집어넣은 구조다.차세대 평면 브라운관으로는 ... ...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보내 정규의 공중전화망에 연결해준다 그리고
셀
간을 이용할 때는 그 해당
셀
중계국에 무선신호를 자동적으로 인계해주기 때문에 끊김이 없이 계속 통화할 수 있다전송사진이나 텔레비전 등의 화상(畫像)을 분해하거나 조립할 때, 주사점이 화면을 이동하는 수평방향의 선 한장의 그림을 ... ...
한국 최초의 우주실험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끌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서 개발한 우주 저울은 물체를 가속할 때 ‘로드
셀
’(load cell)이라는 센서를 이용해 물체에 미치는 힘을 잼으로써 질량을 알아내는 방식이다. 우주 저울은 질량을 아는 표준 추와 질량을 재고 싶은 물체를 동시에 가속시키면서 각 물체에 가해진 힘을 비교해 ... ...
목소리의 기술 살리고~살리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일순간에 어마어마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내려 보내 원하는 발음을 만든다. 패턴 수는
셀
수 없이 많다. 패턴은 주로 8~10세에 많이 만들어지고 사춘기 이후에는 형성 속도가 느려진다. 제2 외국어를 어릴 때 가르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그렇다면 성대모사는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김형태 원장은 ... ...
성격까지 밝게 만드는 치아교정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씹는 기능까지도 개선시켜 준다.치아에 대한 관심은 인류 역사만큼 깊다. 기원전 25년 경
셀
서스(Celsus)가 저술한 책에는 삐뚤어진 덧니를 손가락 힘으로 움직였다는 기록이 있다.건강과 미용 두 마리 토끼 잡는다교정치료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치아 고유의 기능인 씹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 ...
생명의 연결고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김 교수는 이 내용을 2005년 1월 세포생물학 권위지인 ‘
셀
’에 발표했다. 수상한 P38, P43‘네트워크’에서 활동하는 것은 P18뿐만 아니다. 김 교수는 이미 낌새가 이상한 P38과 P43도 추적해 그 정체를 밝혀 낸 전적이 있다.P38 유전자가 자신의 염기서열 중 일부가 떨어져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