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셀"(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과학동아 l2004년 12호
- 목록이다.이곳에서 가장 밝은 성운인 NGC 2024는 1786년 영국의 천문학자인 윌리엄 허셀 경이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탐색하다 발견했다. 말머리 암흑성운 배경을 빛내주는 성운인 IC 434가 처음 발견된 때는 1889년으로 에드워드 피커링에 의해서였다. 그는 이 부근을 찍은 사진에서 암흑성운 주변에서 엷게 ... ...
- RNA로 유전병 고친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현재 RNA 간섭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원천특허를 확보한 투셀 박사를 중심으로 설립된 생명공학기업인 알나이람(Alnylam)뿐 아니라 시르나사를 비롯한 많은 제약회사와 대학 연구진들이 여러 종류의 암과 에이즈 바이러스, 간염 바이러스,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질병을 ...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손가락 개수를 나타내는 표현이 될 수 없고, 손가락의 마디를 꼽으며 12라는 숫자를 셀 수도 없다. 손가락이 없었다면 지금과 같은 수의 개념이 발명될 수는 있었을까? 손가락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인류 공통의 진법 체계인 10진법이 없었다면, 아마도 인도에서 발견된 0이 아랍으로, 다시 유럽으로 ...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과학동아 l2004년 11호
- 1991년 유전자 1천여개로 구성된 후각 유전자군을 발견했다고 생명과학 학술지 ‘셀’ 에 발표했다. 이들이 발견한 후각 유전자는 하나하나가 서로 다른 후각 수용체를 만든다. 이론상으로 1천가지 종류의 후각 수용체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두 과학자는 1개의 수용체가 2, 3개의 냄새 분자를 ... ...
- 고대 그리스 향기 짙게 나는 페르세우스 이중성단과학동아 l2004년 09호
- 볼 수 있으므로, 소형망원경으로 이 성단을 본다면 적어도 5백개가 넘는 별을 셀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이 성단까지의 거리는 약 7천4백광년이며 우리의 눈에 보이는 각 성단의 크기는 달 크기와 같은 0.5도 가량 된다. 성단 내부에는 8등급보다 밝은 별이 10여개가 있으며 이 별들이 성단의 주축을 ...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과학동아 l2004년 08호
- 탄생하고 있다고 한다.이 성운들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셀이다. 1786년 그는 별들이 많이 모인 이곳에 망원경을 들이댔는데, 뿌옇고 엷은 성운이 넓게 분포해 있음을 발견했다.이 성운에 북아메리카성운이라고 이름 붙인 사람은 독일의 천문학자 막스 울프다. 사진이 ... ...
- 다재다능 이산수학 맛보기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영재 발굴에도 한 몫오일러의 그래프처럼 점이나 선분, 그리고 자연수 등 원소의 개수를 셀 수 있는 집합에 대해 정의된 학문을 이산수학이라고 부른다. 조합론, 그래프이론, 암호이론, 알고리즘 분석 등이 이산수학에 속한다.이산수학의 가장 큰 특징은 특정한 수학적 지식 없이 순수한 수학적 ... ...
- 편두통 있으면 빙과류 자제해야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여름철에 빙과류를 조심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터키 코카엘리대 마지트 셀레클레르 박사팀은 아이스크림이 유발하는 두통과 편두통의 관련성을 학술지 ‘두통’ (Cephalagia) 4월호에 제시했다. ‘아이스크림 두통’ 은 아이스크림처럼 찬 것을 먹다가 갑자기 머리가 띵해지는 증상으로 보통 ... ...
- 유전자 발현 동영상 포착과학동아 l2004년 04호
- 살아있는 세포 안에서 단백질이 만들어질 때 유전자가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보여주는 동영상이 세계 최초로 캡쳐됐다. 미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의 데이비드 스펙터 박 ... 특정 부위를 좀더 쉽게 알아볼 수 있는방법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3월 5일자 ‘셀’지에 게재됐다 ...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과학동아 l2004년 03호
- 것도 확인됐다.8세포기 ‘마의 장벽’ 돌파 인간 배아 복제는 2001년 미국의 어드벤스트 셀 테크놀러지(ACT)사가 제일 먼저 성공했다. 호세 시벨리 박사는 황 교수팀과 마찬가지로 핵을 제거한 사람의 난자에 난구세포를 삽입해 배아를 만들어냈다. 이 배아는 6세포기까지 분열하다가 죽어버렸다.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