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의"(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회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공통 조상으로부터 각각 물려 받아 공유할 확률로 정의하면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혈연 관계의 멀고 가까움을 이렇게 나타내는 방식은로널드 피셔, J.B.S 홀데인과 함께 현대적 종합을 이끌었던 슈얼 라이트가 1922년에 처음 고안했다. 라이트는 이를 ‘관계 계수 ... ...
- [재미] 마왕의 탑 9화 불어나는 토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연구하다 이 수열을 발견했다. 토끼가 결코 죽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피보나치가 정의한 토끼 세계의 번식 규칙은 간단했다. 첫 달에는 새로 태어난 토끼 한 쌍만 있고, 태어난 지 두 달이 지난 토끼는 번식할 수 있다. 번식할 수 있는 토끼 한 쌍은 매달 새끼 한 쌍을 낳는다. 어떤 달에 토끼의 총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자연지능을 이해하는 것이 인공지능 완성에 필수”라고 말했다. 인간의 지능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지능이 발생하는 방법을 알아내면 인공지능 연구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어진 본 강연에서도 멀게만 느껴지던 첨단 기술이 생각보다 훨씬 가까이 왔고, 곧 우리의 삶을 바꿀 ... ...
- [Tech & Fun] ‘싸인’의 ‘아이돌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혐의를 밝히려다 자신의 목숨을 잃게 됩니다.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기지만, 타락한 법과 정의는 그 흔적마저 모두 지울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 뒷맛이 씁쓸한 드라마였습니다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다양한 역설이 제기됐죠. 이런 논란은 후대의 수학자들이 집합론의 공리를 정교하게 정의하면서 대부분 해결됐습니다. 칸토어는 오늘날에는 공로를 인정받아 집합론의 아버지로 불립니다.빛으로 힐베르트 호텔을 짓다최근 과학자들은 수학자들이 머릿속에서만 상상해본 힐베르트 호텔을 직접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초파리를 이용한 학습과 기억, 노화에 대한 연구를 했으며, 유전자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정의 등 새로운 개념들을 무수히 만들어낸 신경유전학의 대가다.둘의 인연은 민 교수가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던 칼텍에서 시작됐다. 민 교수는 “선생님은 내게 탐험가 기질이 있다는 것을 알아챘고, 역시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뇌기능 발달과 개선, 그리고 뇌 질병 예방에 도움을 주거나 줄 가능성이 있는 음식으로 정의하고 과학적으로 따져봤습니다. 우선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죠.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서는 기억력과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의 성분을인정하고 있습니다. 식약처에서 인정한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 새롭고 강력한 등가원리를 바탕으로 중력을 시공간의 기하학으로 새롭게 정의했다. 중력의 근본에 대한 물음등가원리에 대한 물음은 궁극적으로 중력과 다른 힘들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진다. 현재 우주를 기술하는 힘 사이에는 모순이 있다. 중력은 다른 힘들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순간적으로 시공간의 왜곡을 일으키는 것은 오직 중력파밖에 없답니다. 중력파의 정의에 따르면 사람이 점점 빠른 속도로 달리거나, 제자리에서 뱅글뱅글 돌 때도 중력파가 생겨요. 하지만 실제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시공간이 변하는 것을 알아챌 수 없어요. 이는 중력이 아주 약한 힘이기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행동을 하는 당사자의 적합도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적합도에도 영향을 끼치는 행동으로 정의된다. 적합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느냐에 따라 해밀턴은 사회적 행동을 네 가지로 분류했다(다음 페이지 표). 첫째, 당사자의 적합도와 상대방의 적합도를 모두 높이는(+/+) 행동은 ‘상리적(mutually beneficial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