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의"(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달라붙는 ‘소립자 시약(SPR)’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고 2013년 학술지 ‘과학과 정의’에 발표했다.소립자 시약은 이황화몰리브덴이나 이산화티타늄 같은 미립자를 계면활성제와 섞은 시약이다(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모두 가진 물질이다). 비누가 때에 달라붙듯 시약의 소수성기가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투자 전문가인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는 이런 경우를 일컬어 ‘이야기 짓기 오류’라고 정의했습니다. 즉 복잡한 사건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그럴 듯하게 이야기를 지어내면서 오류가 생긴겁니다. 직감을 내세워 관련 없는 두 사건을 원인과 결과로 만들어 버린 것이지요.이 같은 오류는 UC버클리대 ... ...
- [소프트웨어]신비로운 수,소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에라토스테네스가 발견한 것으로, 자연수를 체에 걸러서 소수만 골라내는 방법입니다. 정의상 1은 소수에서 제외하기 때문에 2보다 큰 자연수를 쭉 늘어놓습니다.2의 배수 체로 자연수를 걸러 2를 제외한 2의 배수를 소수 후보에서 제외시킵니다. 다음은 3의 배수, 그 다음은 5의 배수, 이런 식으로 ... ...
- [지식]이안 아골,위상수학에 마침표를 찍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종의 개수’라고 표현한다.2차원 다양체는 작은 범위에서 ‘전후좌우’만 있으면 정의된다. 2차원 평면이 2차원 다양체의 전형적인 예인데, 3차원 구도 겉표면만보면 2차원 다양체가 된다. 예를 들어, 커다란 구의 표면을 기어다니는 작은벌레를 보면 벌레는 앞뒤좌우로만 움직인다. 만약 이 공간에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도형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여기서 V, E, F는 각각 결정면, 모서리, 꼭짓점을 나타내지요. 오일러의 법칙은 결정의 규칙성과 관련된 법칙으로, 광물의 결정에서 광물의 결정면의 수와 꼭짓점의 수의 합은 모서리의 수에 2를 더한 값과 같다는 법칙을 말합니다. 결정은 결정면, 모서리, 꼭짓점의 종류와 수에 따라 위의 그림과 같이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리베르탱고(Libertango)’ 음악에 맞춰서 탱고를 준비했다. 남녀 무용수를 각각 광자로 정의하고, 다리가 얽히고설키는 탱고 스텝을 통해 광자의 양자 얽힘 현상을 표현했다(생성된 광자의 에너지가 줄어든 것을 표현하기 위해 낮은 주파수를 의미하는 붉은색의 드레스를 입었다). “물리학은 말로 ... ...
- 기후변화의 비극 환경난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등 환경 문제로 인해 고향에서 살 수 없게 된 사람들을 가리켜 ‘환경난민’이라고 정의했어요. 그러면서 기후변화가 무력 충돌이나 난민 사태를 가져올 수 있다고 예측했지요. 10여 년이 지난 지금 노먼 마이어스 교수의 예측은 현실이 되고 말았답니다.살 곳을 잃고 떠돈다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Ѕ인 영역을 세기가 В인 자기장이 통과할 때, 자기다발은 두 값을 곱한 양(Φ=ВЅ)으로 정의한다. 고전역학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면적과 자기장이 모두 연속적인 값이므로 그 둘을 곱한 자기다발도 당연히 연속적인 값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Φ를 직접 측정해 보면, h/2e( h는 플랑크 상수, e는 전자의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호에 과학자들이 악을 본격적으로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랜싯은 사설에서 “악을 정의할 수 없다는 이유로 연구를 하지 않는 것은 과학자의 오만”이라고 규정하고 “1996년에도 악의 본성에 대한 연구비는 없을 것이다. 유일한 희망은 호기심 많은 과학자가 우연히 무언가를 발견하는 ...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 조선 후기 수학자 최석정이 쓴 , 조선 후기 수학자 남병길이 지은 등이죠. 이중에서도 조선 후기 수학자 이상혁 선생님의 은 조선시대 수학의 우수성을 알 수 있는 아주 좋은 사료예요. 서양 수학을 뛰어넘는 독창적인 수학 연구가 담겨 있었거든요. 당시 일본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