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의"(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에너지의 양을 정의하는 리히터 규모의 경우, 규모가 1이 크면 에너지는 30배 큰 것으로 정의한다. 규모 2.0인 지진이 30번 발생한 것이나 규모 3.0인 지진이 1번 발생한 것이나 발생한 에너지 총량은 동일하다는 얘기다.그렇다면 규모가 5.0 이상인 비교적 큰 지진이 발생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학계에서는 이것을 지구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6번째 감각, 일명 ‘자각’으로 정의하고 있다. 1970년대부터 진행된 실험에 따르면 철새인 유럽울새는 캄캄한 어두운 상자 속에서도 동서남북 방향을 정확히 구분한다. 자기장 감지를 방해하는 자석을 비둘기에 부착하면 목적지를 잘못 찾아가기도 ...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보지 못하는 화려한 세상을 보며, 색에 의존해 먹잇감을 더 쉽게 고를 것이다.파충류의 정의가 변해가고, 사람들의 인식도 조금씩 변해가고 있다. 멍청하고 게으르며 아둔한 동물로 알고 있던 파충류는 이제 없다. ‘파충류의 시대’ 역시 결코 끝나지 않았다 ...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차지할 수도 있다. 시조새를 가장 진화된 수각류 공룡 그룹에 넣을 수도 있다. 새를 정의하는 좀 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해진 것이다. 이런 사실은 공룡과 새를 구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보여주며 역설적으로 공룡과 새가 얼마나 유사한가를 증명한다. 중생대에 대부분의 공룡은 멸종했지만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1967년 이후로 국제 표준 온도 단위는 물의 어는점, 끓는점이 아닌, 물의 삼중점을 이용해 정의한다. 물의 삼중점의 절대 온도를 273.16로 나눈 것을 1K으로 하자고 약속했다. 이렇게까지 해도 문제는 남는다.우리가 이야기하는 물이 증류수인지, 바닷물인지, 한강물인지가 확실하지 않다. 2005년 ...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교수는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거짓말을 “생명체 깊숙이 박혀있는 특성”으로 정의했다. 유전자가 스스로를 퍼뜨리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발명해낸 능력이 거짓말이란 말이다. 그의 생각은 영국 옥스퍼드대 리처드 도킨스 교수에게 건너가 ‘이기적 유전자’라는 명작으로 탄생했다.모든 ...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정의한다. 하지만 국가와 기관에 따라 지름 2.5μm 이하의 먼지를 미세먼지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이 경우 초미세먼지는 1.0μm 이하로 정한다.황사는 중국과 몽골 사막지대, 황토 고원에서 시작해 바람을 타고 우리나라 쪽으로 날아온다. 황사에는 각종 중금속과 오염물질이 많이 들어 있어 오랫동안 ... ...
-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경우밖에 없다. 그렇다면 이 미용사는 ‘머리를 손질할 수 있다’는 미용사의 기본 정의에 맞지 않게 된다. 편지를 쓴 수학자 버트런드 러셀의 이름을 따 이런 역설을 ‘러셀의 역설’이라 한다. 문장을 기호로 바꿔도 역설은 사라지지 않는다.‘질문 자체가 틀렸다’거나 ‘그런 미용사는 세상에 ... ...
- [Knowledge] 길고 짧은 건 '단위'로 재봐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m인 이 금속막대를 표준원기로 공유하게 된다.약 200년이 지난 1960년까지 이 방식으로 1m를 정의했다. 측정 오차가 약 100만분의 1에 불과할 정도로 상당히 정확했다. 우리나라에도 프랑스에서 가져온 표준미터원기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고이 모셔져 있다. 우리나라는 1964년 1월 1일부터 국제 표준 ...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리만 기하학에서 거리는 거리함수 텐서 또는 메트릭 텐서라 부르는 수학적인 양으로 정의된다. 중력은 거리와 위치에 따라 달라지므로, 중력효과(또는 비관성계에서만 나타나는 효과)를 의미하는 수학적인 양은 틀림없이 이 거리함수 텐서와 관계있을 거라고 아인슈타인은 생각했다. 구면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