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폰"(으)로 총 1,3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새가 날아가 벽돌을 부수고 연두색 돼지를 무찌르는 게임 ‘앵그리버드’는 스마트폰이 상용화되던 초기, PC게임 유저들이 모바일게임으로 넘어오는 데 지대한 역할을 했다.새총에 걸린 새를 손가락으로 잡아 당겼다가 스크린에서 손을 떼면 새가 총알처럼 날아가 벽돌에 부딪힌다. 포물선을 그리며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공 씨는 학업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공부를 잘 하는 친구들에게 허락을 구하고 스마트폰으로 그들이 어떻게 공부하는지 촬영하는 등 절치부심했다. 학교에서 야간자율학습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영상을 보면서 친구들의 공부법을 분석하고, 자신만의 학습법을 만들었다. 그 결과 성적은 빠르게 ... ...
- 여론을 흔드는 숫자 장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번째는 유선 대 무선 비를 8 : 2로 조사한 결과입니다. 유선은 ARS를 80% 이용, 무선은 스마트폰 앱 조사를 20% 이용했습니다. 표본의 크기는 각각 1015, 1016으로 거의 같았으나, 응답률은 11.9%, 5.1%였습니다. 그 결과 첫 번째 경우는 문재인 후보와 홍준표 후보의 지지율이 각각 44.7%, 13.1%로 나왔습니다. 두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잡았어요. 이후 지문 인식 기술은 점점 발전해서 현재는 과학수사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금융 결제, 출입문 관리 등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답니다. 그럼 지문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은 지문이 손가락과 물체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 미끄럼을 방지해 물건을 단단히 붙잡을 수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따라 반도체는 18개월마다 두 배씩 성능을 높여 왔다. 이제는 손바닥만 한 스마트폰이 1980년대 슈퍼컴퓨터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하지만 현재 사용하는 반도체는 회로를 더 이상 집적할 수 없는 한계에 다다랐다. 2020년이면 무어의 법칙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게 학계의 중론이다 ...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 중국 최대 모바일 업체인 화웨이와 협력해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 칩이 적용된 스마트폰을 출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결국 중국은 기초과학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면서 라이징 스타로 이름을 알렸고, 이런 기술이 산업화로 이어지는 생태계를 구축하면서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 ... ...
- [Culture] 세상의 모든 사이비과학에 경고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어떻게 막을 거냐?”며 조목조목 따진다. 전자파를 완전히 차단해보라며 친구의 스마트폰 전체에 스티커를 덕지덕지 붙여 뒤덮어버리기도 한다. 틀린 말을 하지는 않지만 쉽게 화를 내는 ‘고혈압 캐릭터’ 고혜람이 등장하는 웹툰 ‘유사과학 탐구영역’의 에피소드 중 하나다. 유사과학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일컫는다. 크레이-2S의 성능은 현재 가정용 컴퓨터는 물론, 손에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에도 미치지 못한다. ‘영웅의 몰락’이라기보다는 그만큼 미래가 어떻게 발전할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의 새 책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의 미래’는 변화하는 시대를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4월 2일 대전 유성구 ETRI. 이동진 ETRI 자율주행시스템연구그룹 선임연구원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켜고 에트리카를 호출했다. 잠시 뒤 벚꽃이 흐드러진 길을 가로지르며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한 대가 눈앞에 멈춰 섰다. 운전자는 없다. 미리 설정한 경로를 따라 에트리카를 타고 1분간 짧은 ...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 있다. 씨로버 R100의 특징은 스마트폰에 연동해 조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폰에서 애플리케이션(앱)을 실행하면 화면에 씨로버 R100을 움직이는 버튼이 나타난다. 상승과 하강, 전진과 후진, 좌회전과 우회전 등 6개 방향으로 조종이 가능하다. 로봇이 수심 몇 m에 있는지 위치를 심도로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