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부피"(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이한 소용돌이...탐사선 '주노'가 발견한 새로운 목성동아사이언스 l2018.03.09
- 화제다. 목성은 ‘태양이 되려다 만 행성’으로 불릴 정도로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부피는 지구의 약 1320배, 질량은 약 320배 크다. 워낙 크다 보니 태양계 나머지 7개 행성의 공전 궤도에 영향을 줄 만큼 강한 중력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목성 표면 중력이 남북극 사이에 차이가 난다는 사실이 이번 ... ...
- 청소년이 늦잠을 자더라도 깨우지 말아야 하는 이유2018.03.06
- 주장을 하게 된 배경이 바로 필자가 2012년 기사에서 다룬 연구결과다. 과거에는 뇌의 부피 성장을 기준으로 봤기 때문에 열두 살이 되면 뇌의 성장은 끝난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자기공명영상(MRI) 같은 뇌의 내부를 볼 수 있는 장비가 나오면서 미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의 뇌과학자들은 청소년의 ... ...
- 스마트폰에도 미니멀리즘이 필요하다? 2018.03.03
- 미니멀리즘이 필요한 걸까요? 2015년 미국의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라이트(light)’는 부피와 기능, 디자인을 대폭 줄이고 단순화시킨 라이트폰(Light Phone)을 출시하며 시대를 거슬러 올라갔습니다. 이 폰은 신용카드 크기로 무게도 40g에 불과합니다. 각종 애플리케이션, 인터넷, 이메일은 물론 ... ...
- [써보니] 비싼 가격에도 애플의 새 '아이맥프로'가 주목받는 이유2018.03.01
- 데스크톱 PC가 차지하는 자리는 면적으로도, 가치로도 그리 작지 않다. 맥 프로는 그 부피를 감안하고서라도 더 강력한 성능과 확장성을 필요로 하는 전문가들에게 맞을 제품, 그리고 아이맥 프로는 일체형의 편리함을 강조하는 워크스테이션으로 구분지어볼 수 있을 것 같다. 어떻게 보면 맥 프로 2 ... ...
- “탈(脫)원전 해도 원전, 사용후핵연료 방재기술 연구는 계속돼야”동아사이언스 l2018.03.01
- 핵종을 분리해 소듐냉각고속로의 연료로 재처리 하는 기술이다. 사용후핵연료의 부피를 20분의 1, 방사능을 100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이 같은 간접 처분 방식인 파이로프로세싱을 제외하면 현재로서는 사용후핵연료를 직접 땅이나 처분장 등에 매립하는 직접 처분 방식밖에 선택지가 없는 ... ...
- [사이언스 지식IN]고향 오가는 길, 또 지진이 난다면?동아사이언스 l2018.02.17
- 것들입니다 . 즉 입을 것과 먹을 것, 잘 것을 위한 물건들을 챙겨야하는 것이죠. 다만 부피를 고려해 최대한 간편한 것으로 넣어야 합니다. 간단한 옷과 이불, 화장지, 라이터 등과 함께 잠을 잘 수 있는 소형 텐트를 넣어두면 좋습니다. 또 가열하지 않고 먹을 수 있는 물과 통조림, 열량이 높은 ... ...
-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02.16
- 간단히 냉동 보전을 할 수 있다”면서도 “냉동인간처럼 냉동 보전하고자 하는 기관의 부피가 커질 경우 피를 얼마나 빨리 제거하는지, 어떤 특수 용액을 사용하는지 등에 따라 성공 여부가 갈릴 수 있다”고 말했다. 얼지 않는 유전자 섞은 특수 동결액 크리오러스와 함께 미국의 ‘알코르 ... ...
- 영화 다운사이징처럼 내 키가 12.7cm라면?과학동아 l2018.02.09
- 유지된 채 인간만 줄어든다면 어떻게 될까. 본래 엔트로피를 낮게 유지하던 사람의 부피가 줄어든다면, 사람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와 이에 따른 신진대사의 양도 함께 줄어든다. 마지막 잔치를 벌이는 최초의 소인국 사람들. 보드카한 병이면 소인국의 모두가 취할 수 있다. -영화 '다운사이징' ... ...
- 추우면 살 빠진다? 사실일까?동아사이언스 l2018.02.06
- sLR 11은 지방 세포가 과도하게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즉 지방의 부피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연구팀은 sLR 11이 지방세포에 의해 만들어지는 단백질이기 때문에 몸 속 지방세포 수와 비례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즉 몸속에 지방이 많은 사람들은 온도가 급격히 ... ...
- 전기뱀장어 모방한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과학동아 l2018.02.02
- 것이다. 그 결과 수 mm의 크기에서 1V 정도의 전압을 얻는 데 성공했다. 박 교수는 “작은 부피에서도 높은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나 마이크로로봇, 나노로봇 등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에너지’ 2017년 12월 1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16/j.nanoen.2017.11.05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