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6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영상] 물 속에서 더 잘 붙는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반대로 필요할 경우 쉽게 다시 떼어낼 수도 있다. 하이드로겔은 수분을 제거하면
부피
가 줄어든다. 헐거워진 미세 구조를 떼어내면 주변을 손상하지 않고도 접착제를 떼어낼 수 있다. 수분을 조절해 접착면을 재활용할 수 있는 셈이다. 정 교수는 “보통 물질 표면에 물기가 스며들면 ... ...
배터리 없이 전기뱀장어처럼 전기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4
전류가 생겼다. 이렇게 생긴 양극의 전위차(전압)는 130~185mV가량이었다. 연구진은
부피
를 줄이기 위해 패드를 종이접기(오리가미) 방식으로 접어 전극 세트가 여러 겹 겹치도록 만들었다. 그 결과, 손바닥보다 작은 크기로 최대 110V의 전압을 얻는 데 성공했다. 슈로더 교수는 “보통 ... ...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R&D 사업도 공론화 거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09
연료로 재활용하는 기술이다. 에너지가 많은 핵종을 분리·저장해 고준위 원전 폐기물의
부피
를 20분의 1로 줄이고 방사능도 100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이 사업은 1997년부터 추진돼 현재까지 총 6794억 원이 투입됐고 2011년부터는 한-미 원자력협정에 따라 총 3단계에 걸친 ‘한-미 ... ...
발리 아궁 화산 대폭발 임박 ,역대 최대 규모 분출 또 일어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01
물질의 총량과 화산재가 분출되는 높이 등을 고려해 판단한다. VEI 5의 경우 분출물
부피
는 1~10㎦로 1만 년 동안 80회만 발생했을 정도로 분출량이 많은 편에 속한다. 1963년 당시 아궁 화산에서 분출된 화산재가 태양을 가려 지구 평균 기온이 한동안 0.1~0.4도나 낮아졌다. 동아일보 제공 아궁 화산의 ... ...
힘을 특유의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메타물질이 지진의 해법?
동아사이언스
l
2017.11.26
이 메타물질은 힘을 받은 방향에 수직인 평면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해 뒤틀리면서 되레
부피
가 확대되는 특징이 있다. 연구팀은 향후 치아나 뼈의 모양을 조정하거나 지진과 같은 예기치 못한 충격을 분산시키는 건축 공법 등에 이 메타물질을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프렌젤 교수는 ... ...
[사이언스 지식IN] 외래 붉은불개미는 얼마나 위험한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0.10
연구팀은 이 물질을 28일 동안 바른 쥐의 경우, 염증으로 인해 피부가 부어오르는
부피
가 30%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DOI:10.1038/s41598-017-10580-y). 솔레놉신 유사물질을 처리했을때 부어오른 염증부위(보라색)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했다. - University of Emory 제공 이처럼 붉은불개미의 독성 물질은 ... ...
소금으로 차세대 배터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안티몬 입자의 팽창을 억제한다. 이렇게 만든 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250회 이상 반복해도
부피
팽창 없이 성능을 97% 유지했다. 바닷물 자체를 2차 전지 재료로 쓰려는 시도도 있다. 김영식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는 해수에 들어있는 소듐을 바로 이용할 수 있는 2차 전지를 ... ...
샴페인 딸 때 나오는 연기 색이 다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9.14
법칙에 따라 와인에 용해된 상태로 존재한다. ※ 헨리의 법칙 :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
부피
의 액체 용매에 녹는 기체의 질량, 즉 용해도는 용매와 평형을 이루고 있는 그 기체의 부분압력에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샴페인 마개를 열 때, CO2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혼합물이 주변 차가운 공기와 만나 ... ...
돌돌 말아 휴대하는 대형 모니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대대익선(大大益善)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크면 클수록 좋다는 뜻. 그러나 커진 만큼
부피
와 무게도 커져 휴대하기 어려워지는 단점이 생긴다. 이 숙제를 해결할 ‘직물(織物) 디스플레이’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최경철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은 직물에 고성능 디스플레이 개발에 ... ...
입고 숨만 쉬어도 전기 만들어지는 ‘티셔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있는 물질로 코팅하면 된다. 이 상태에서 트위스트론을 양끝에서 잡아당기면 얇아지며
부피
가 줄어든다. 이때 전하 저장 용량도 함께 줄어 전하를 밖으로 내놓는 과정에서 전류가 생긴다. 연구진은 약 0.02g의 트위스트론으로 소형 발광다이오드(LED) 전구의 불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 초당 30회의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