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푸른 리트머스종이를 붉게 물들이는 물질이 산성이다. 위의 물질들은 모두 정도의
차이
는 있지만 푸른 리트머스종이를 붉게 만드는 성질이 있다. 왜 그렇게 되는지 궁금할 것이다.보통 순수한 물속에는 수소이온이 1천만분의 1 농도로 들어 있다. 그러나 산성을 나타내는 물질들에는 그것보다 많은 ... ...
전륜과 후륜의
차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좌우한다. 코너링력이 크면 당연히 그만큼 차의 조종안정성이 좋아진다. 김씨는 이러한
차이
를 모른 채 구동방식이 다른 예전차를 운전하던 감각으로 핸들을 조작, 사고에 이르게 된 것이다. 트렁크에 모래주머니를 넣고 다닌 이유전륜방식은 엔진과 변속기 등 무거운 부품이 모두 앞쪽에 몰려 있어 ... ...
1. 일상에서 첨단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힘을 갖는다. 이를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이라 한다. 1805년 영과 라플라스는 이 압력
차이
와 표면장력 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영-라플라스의 식이 바로 그것이다.물이 얇은 관을 타고 오르는 모세관 현상, 물 속에서 동그랗게 만들어지는 공기 방울, 그리고 ... ...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빛이 멈추지 않으려면 빛의 속도가 더 빨라지거나, 아무리 빨리 뒤쫓아가도 빛과의 속도
차이
가 좁혀져서는 안된다. 그러나 그 어느 것도 당시로서는 생각할 수 없었다.어린 나이에 어쩌면 이런 생각들을 했을까. 그러나 그가 12세 때 유클리드 기하학에 관한 책을 읽고 감명을 받았으며, 16세 때는 ... ...
CD플레이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리 큰
차이
가 없다. 다만 비디오나 오디오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방식에서 조금씩
차이
를 가지고 있을 뿐이다.이 가운데 특히 눈여겨볼 것은 CD-I(interactive). 컴퓨터 주변장치로 작동하는 다른 ‘CD의 친구들’과 달리 달리 그 자체가 CPU(모토롤러 68000)를 가진 완전한 시스템이다. CD-I는 기존매체와 ... ...
한글코드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KSC 5700이란 표준안을 내놓음으로써 일단락된 느낌이다. 그러나 완성형과 조합형이 어떤
차이
점을 가지고 있는지 조차 감을 잡지 못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세계 최고의 과학성을 자랑하는 한글이 왜 유독 컴퓨터에서만 문제를 일으키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그간의 경과를 살펴보면서 한글 ...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붙인 것을 '조합형' 한글코드로 불렀다. 결국 무엇을 한 글자로 볼 것인가에 대한 견해
차이
를 극복하는 것이 한글코드 논쟁을 종식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한글 코드 문제의 츨발점 컴퓨터는 자료 처리시 정보를 표현하거나 기록할 때 글자의 모양을 ... ...
2. 환경지배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자라는 환경에 비해 월등히 윤택하다. 그러므로 IQ점수의
차이
가 주로 생활 환경의
차이
를 반영하는 것이라는 주장이 지능은 유전한다는 주장에 못지않게 상당한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본능과 학습사람은 식욕 성욕 수면욕 등의 본능을 지닌다. 그리고 어느 정도는 무의식적으로 본능을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이론과 현실의 연결 내지는 전이(轉移)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KAIST는 이러한
차이
를 극복할 수 있는 인력을 배출해 성공을 거뒀다고 할 수 있다.여기서 한가지 유의해야 할 사실은 KAIST가 이론이나 학문 위주의 교육을 지양하고 현실 위주의 엔지니어들을 배출했음에도 졸업생들은 엔지니어로서 ... ...
1. 공부방법 달라진 공통과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데 그 목적이 있다. 개념과 지식 위주로 배우는 학문적 접근과는 그런 면에서 큰
차이
가 있다.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처럼 나눠서 배우는 방식은 주로 개념과 지식으로 체계화된 학문을 배우는 것이다. 그러나 공통과학에서는 환경이나 에너지와 같이 여러 학문분야의 지식을 알고 있지 않으면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